대전·충남지역 일부 소규모 초·중·고교에 보건교사가 없어 학생 건강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전시·충남도교육청은 교과부가 보건교사 정원을 결정하고 있고, 예산이 수반되지 않아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내비치고 있어 자체적인 대책마련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지난 2007년 개정된 학교보건법에 따르면 초·중등 모든 학교에는 보건교사를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일정 규모 이하의 학교에는 순회 보건교사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도교육청의 경우 대부분 학교보건법 개정 이전 초·중등교육법에 명시돼 있는 학급수 기준으로 배치하고 있어 상당수 학교에서는 보건교사를 찾아볼 수 없다.

문제는 어린 학생들에게는 감염이나 질병 등에 대한 지식 습득·예방이 필수적이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이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해 신종플루 여파만 봐도 보건교사의 역할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교육당국은 여전히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 시교육청의 보건교사 배치기준을 보면 초등학교 18학급 이상, 중학교는 16학급(동부), 21학급(서부) 이상, 고등학교는 27학급 이상으로 정해져 있어 지역 내 전체 학교 294개교 중 68개 학교에서는 제대로된 질병 예방 및 보건교육 등이 불가능하다.

도교육청 역시 초등학교 430개교 중 135개교, 중학교 146개교 중 103개교, 고등학교 80개교 중 18개교에는(사립제외) 보건교사가 없다.

일각에서는 한 명의 보건교사가 여러 학교를 순회하며 활동하는 순회 보건교사제를 확대, 시행하는 등 각종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반면 모 교육청 직원 A모씨는 “교과과정보다 중요한 것이 어디있냐”고 반문한 뒤 “보건교사에까지 신경쓸 수 있는 여력이 없어 보건교사 확대 대책마련은 무시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신경쓸 부분이 많아 보건교사 배치를 거부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이에대해 시·도교육청 보건교사 담당자들은 보건교사의 실용적인 활용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사립학교 보건교사 정원을 22명이나 늘리는 등 보건교사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급수 기준이 아닌 시·군 및 각 학교 사정을 감안해 보건환경이 열악한 상급학교 등에 탄력적으로 보건교사들을 이동, 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