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사업재조정 대상인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 5곳 가운데 대신2구역만 5년 이내 사업추진되고, 나머지 4곳은 5년 이후 추진으로 유보됐다.
LH의 연이은 사업추진 연기 발표에 불안한 속내를 숨기지 않았던 지역 주민들은 사실상 LH의 통보에 불만의 목소리를 내놓으며 상당한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21일 LH대전충남지역본부는 지난주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대신2구역은 5년 이내 사업을 진행시키고, 천동3구역·대동2구역·구성2구역·소제 등 4곳은 5년 이후에나 사업추진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또 5년 이후 사업추진 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한 지역에 대해서는 5년 간 기다리거나 공동주택이 아닌 현지개량방식(구역 내 일정부분을 공공시설(주차장, 공원, 도로확장 등)로 설치하고, 나머지 건축을 소유자들이 하는 방식)을 원할 경우 지원하겠다는 뜻도 전달했다.
LH대전충남지역본부는 지난 16일 구성2구역 간담회를 시작으로 17일 천동3구역, 18일 대신2구역 지역 주민들을 만나 LH의 결정사항을 통보했으며, 대동2구역과 소제 등 2곳은 내주에 지역 주민들에게 5년 이후로 사업추진을 유보한다는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가운데 천동3구역(16만3094㎡, 1233가구)은 지난 2009년 12월 사업시행 인가가 나왔고, 대신2구역(11만3710㎡, 829가구)의 경우 지장물조사 등을 거쳐 주민들에게 보상계획까지 통보한 상태였다.
LH 관계자는 “간담회에서 LH재무 사정상 대신2지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사업지구에 대해 5년 이내는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뜻을 정확히 밝혔다”며 “주민들의 의견을 전부 수렴하지 못해 송구스러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5년 이후로 사업을 유보한다는 통보를 받은 지역 주민들은 사업 조속시행을 촉구하며, LH를 강하게 압박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사업시행인가가 나온 천동3구역은 지역 주민들에게 조속한 사업추진을 위한 서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업추진의지를 강하게 나타낸다는 입장이다.
천동3구역 한 지역주민은 “17일 간담회 자리에서 천동3구역은 타 구역과 다른 사업추진을 해야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했다”며 “LH가 최종적으로 천동3구역 사업추진 계획을 변경한다든지 없어진다면 물리적인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