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사직4구역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건립 논란이 정비구역 지정 보류를 요구하는 시민단체와 지정 고시를 원하는 토지주들간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청주시가 22일 오후 이를 결정짓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앞두고 있어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사회적 합의 전까지 보류"

충북경실련을 비롯한 7개 시민단체는 21일 청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직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은 주민 주도가 아닌 시행사에 의한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라며 "승인 요건을 충족했더라도 세심한 검증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정비구역 지정을 보류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 시행사, 원주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기구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2020 도시주거환경 기본계획 용역'이 나올 때까지 도심재정비 사업 전반에 대한 행정집행을 중지하라"고 요구했다.

이두영 경실련 사무처장은 "사직4구역은 원주민이 밀려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문제와 함께 도심경관 및 스카이라인 훼손, 중대형 아파트 과잉공급에 따른 미분양 문제 등을 안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 발전 원한다면 지정"

반면 사직4구역 개발을 찬성하는 원주민 모임은 일방적 주장이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 지역 주민 46명으로 구성된 '사직4구역 발전을 위한 원주민 모임'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1년이 넘도록 심의위원들이 고민하고 토론해 결정을 하려하는데 시민단체가 대안 없이 반대만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원주민의 권익과 시의 미래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동참하겠지만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고 있지 않느냐"며 "시는 예정대로 지난해 확정된 도시계획위의 최적안대로 구역지정을 고시하라"고 촉구했다.

시행사인 랜드마크트윈스㈜ 박상기 대표도 "2005년 개발사업을 위해 사직동 토지를 매입하던 중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이 발표돼 사직4구역 조합설립추진위의 대주주격이 됐다"며 "시와 추진위가 법 테두리에서 진행한 일을 무효로 하라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지역 슬럼화 해소 최우선

양측의 첨예한 대립 속에 22일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최종 결정을 앞둔 청주시는 적잖은 부담을 안고 있다. 일단 법적 하자가 없는 만큼 정비구역 지정을 무작정 미룰 수 없는 입장이지만 도심경관 및 스카이라인 훼손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간과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발사업이 지연되는 만큼 지역민간 갈등은 물론 지역 슬럼화 현상이 심화된다며 시의 빠른 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사직4구역 예정지의 60~70%를 소유한 랜드마크트윈스㈜는 원주민의 이주가 이뤄진 가구에 대해 재임대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관리비용이 적잖게 들다보니 궁여지책으로 철거를 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도시계획 관리차원에서 원도심에 고층건물이 들어서는 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가 도시계획위원회의 고민"이라며 "다소 부담은 따르겠지만 도시계획위원회에서도 실증적인 심의를 통해 신중히 의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시 도시계획위원회는 그동안 수차례 논의를 통해 도시경관 등을 위해 층수는 최고 66층에서 59층(평균 61층→55층)으로 낮추고, 용적률도 제안서상의 748%에서 700% 이하로 조정하는 최적안을 마련한 상태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