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21일 충남발전연구원에서 농어업·농어촌 혁신 실천과제 수립을 위한 추진상황 중간점검 간담회를 열고 분야별 토론과 논의를 했다.

이날 간담회는 농정관련 유관기관·단체 임직원을 비롯해 도와 시·군 농정담당 공무원이 참여해 분야별 전문가 주제발표와 토론회를 벌였다.

또한 지난 2월부터 총 3차례 개최된 전문가 합동 간담회 논의 내용을 재확인하고 이에 따른 문제인식과 추진방향을 함께 공유하는 등 발전적인 실천방안도 모색됐다.

특히 도는 오는 4월 26일 도 공무원교육원에서 농정관련 유관기관 및 단체, 의회, 학계 등 관계자 3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농어업·농어촌 혁신 대토론회’를 열고 실천과제를 도출한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다.

도는 이를 통해 △4대 부문 17개 주제에 대한 전문가 워크숍의 적극적인 추진 및 개최결과 실시간 전파를 통한 참여분위기 확산 △농어업·농어촌 혁신 실천과제 아이디어의 지속적 발굴 △다양한 주체 참여를 통한 민선 5기 충남 농정의 비전 제시 및 주제(분야)별 사업 우선순위 도출 등 농어업·농어촌 혁신 시행계획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농어업·농어촌 혁신 시행계획이 마련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앞서 논의된 분야별 주제에 있어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의 경우 기존 추진 중인 사업을 철회하자는 의견과 보완·개선하자는 주장이 함께 제시되며 논란이 있었다.

또한, 농촌지역 지도자 양성 사업의 경우 수익을 중심으로 전문영농으로 양성하자는 의견과 마을전체를 이끌어 갈 종합지도자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맞붙고 있다.

또 각 분야별 사업 실행에 있어 보조금 지급을 놓고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강하게 제시되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농업지역의 경우 도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자부담 비율을 높인다면 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서천군 관계자는 “전형적인 농업군의 경우 다른 도·농복합 지역과 달리 세수가 없어 자립도가 낮다”며 “현재 논의되는 사업 전반에 있어 농업군의 어려움이 반영되지 않는 등 현실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