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신도시 탕정2단계 개발사업이 당초 1764만 2000㎡에서 590만 7000㎡로 축소될 전망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재조정 대상인 탕정2단계 개발사업 축소로 지역주민들은 아산신도시의 기형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며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다.

21일 국토해양부와 LH에 따르면 아산 탕정2, 파주 운정3, 오산 세교3, 인천 검단2지구 등 LH가 보유하고 있는 신도시급 미보상 사업지 4곳 중 파주 운정3지구를 제외한 3곳의 사업 처리방침이 확정됐다.

국토해양부는 오는 31일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이하 중도위)를 열고, 아산 탕정신도시의 면적 축소를 위한 지구계획변경을 심의할 것을 확정했다. 중도위에서는 아산 탕정신도시 전체 1764만 2000㎡ 가운데 아직 보상이 진행되지 않은 2단계 사업 1173만 5000㎡의 지구지정을 해제하고, 590만 7000㎡로 축소할 것을 잠정 확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산시는 지난해 국토해양부로부터 아산 탕정2단계 개발사업 1764만 2000㎡ 가운데 30%만을 개발하는 계획변경에 대한 의견을 전달받았다.

그러나 아산시는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물건조사가 마무리된 아산시 탕정면 갈산리와 매곡리 일원은 사업지구에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국토해양부에 다시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계획에서 제외된 탕정면 매곡리 지역 74만 7000㎡는 포함될 것이라는 게 아산시의 설명이다.

아산시 탕정 2단계 택지개발사업은 그 동안 보상이 지연되면서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에 큰 불편을 겪어왔다. 또 2단계는 주택, 자연공원 및 녹지로 이번 사업중단에 따라 환경친화적 도시건설의 본래 취지에 어긋나며 자족기능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게 지역 주민들의 한 목소리다.

아산시의회 조철기(탕정·음봉) 의원은 "신도시 개발 백지화를 외치는 주민들의 요구는 17년 간 재산권 행사를 막아오다 또 다시 5년을 기다리라는 말에 대한 반감이자 허탈감이었다"며 "신도시개발 축소로 국가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이어 "당초 계획된 기간도로망 개설 등 최소한의 약속은 지켜져야 아산신도시가 기형화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산=이봉 기자 lb1120@cctoday.co.kr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