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 폭발로 인한 방사능 오염 공포가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방사능 오염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해양연구원(이하 해양연)이 공개한 ‘북서태평양 해수 유동장(3.16~3.29)’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남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해당 기간 동안 최대 유속 1㎧, 폭 100㎞ 이상으로 일관되게 동쪽으로 흘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또 해수의 흐름과 방사능 입자의 확산 경로를 파악하는 입자추적시스템을 적용한 ‘해수 유입 방사능 입자 확산 경로(3.16~6.27)’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자료는 지난 16일부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해안에서 방사능 물질이 해수에 유입되었다고 가정, 오는 6월까지 입자들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분석한 결과 일본 해안에서 유입된 방사능 입자는 내달 내내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정체됐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후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내부로 유입될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연 김영호 박사는 “쿠로시오 해류에 의한 해수 이동은 주로 동향이기에, 유출된 방사능 물질이 해수에 유입된다 해도 우리나라 연안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며 “이번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입자 역시 태평양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에서 바닷물에 희석되기 때문에 태평양을 순환하는 해수가 우리나라 연안에 이를때쯤이면 그 농도가 자연상태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