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자정을 기해 시작된 야간조명제한 단속 효과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대부분의 단속 대상 기관 및 업소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동참을 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야간조명제한 단속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유흥업소들은 에너지절감을 빙자한 명백한 ‘유흥업소 죽이기’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 야간조명제한 단속 대상인 유흥업소들은 이번 정책의 에너지 절감 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유흥업소 관계자는 “단속대상이 단란주점, 룸싸롱 등 유흥주점들인 점을 미뤄볼 때 이번 정책은 에너지 절감이 아닌 유흥업소 죽이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며 “우리같은 유흥업소 말고도 휘황찬란한 노래방, 모텔이 얼마나 많은데 에너지 절약이 목표라면 이들도 동참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같은 업소는 밤샘 영업을 하더라도 사실상 새벽 4~5시면 간판조명을 내리는데 두 세시간 간판 조명을 끈다고 얼마나 큰 효과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측은 실질적인 에너지 절약 효과도 크지만 그 이외의 시각적 효과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정확한 수치를 계산하기 어렵지만 단속대상 업체가 대전 전력 전체의 10%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들이 평시보다 10%의 전력을 아끼면 대전 전체 전력사용량의 1%를 절약하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비율로 보면 크지 않은 것 같지만 대전시 전체 전력을 감안하면 절대 적은 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1%의 전력을 아낀다는 가시적 효과 이외에도 시민들이 불꺼진 유흥업소를 보며 에너지 위기를 직접 느껴 절약에 동참할 수 있다는 보이지 않는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야간조명제한 단속이 시행된 지 2주가 지난 21일 현재 대전시내 위반 건수는 0건으로, 대전시 측은 현실적으로 단속이 어려워 계도 위주의 점검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대부분의 단속 대상 기관 및 업소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동참을 하면서도 에너지 절감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야간조명제한 단속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유흥업소들은 에너지절감을 빙자한 명백한 ‘유흥업소 죽이기’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 야간조명제한 단속 대상인 유흥업소들은 이번 정책의 에너지 절감 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유흥업소 관계자는 “단속대상이 단란주점, 룸싸롱 등 유흥주점들인 점을 미뤄볼 때 이번 정책은 에너지 절감이 아닌 유흥업소 죽이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며 “우리같은 유흥업소 말고도 휘황찬란한 노래방, 모텔이 얼마나 많은데 에너지 절약이 목표라면 이들도 동참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같은 업소는 밤샘 영업을 하더라도 사실상 새벽 4~5시면 간판조명을 내리는데 두 세시간 간판 조명을 끈다고 얼마나 큰 효과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측은 실질적인 에너지 절약 효과도 크지만 그 이외의 시각적 효과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정확한 수치를 계산하기 어렵지만 단속대상 업체가 대전 전력 전체의 10%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들이 평시보다 10%의 전력을 아끼면 대전 전체 전력사용량의 1%를 절약하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비율로 보면 크지 않은 것 같지만 대전시 전체 전력을 감안하면 절대 적은 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1%의 전력을 아낀다는 가시적 효과 이외에도 시민들이 불꺼진 유흥업소를 보며 에너지 위기를 직접 느껴 절약에 동참할 수 있다는 보이지 않는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야간조명제한 단속이 시행된 지 2주가 지난 21일 현재 대전시내 위반 건수는 0건으로, 대전시 측은 현실적으로 단속이 어려워 계도 위주의 점검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