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교육청이 교과부 지원을 받아 관내 초·중·고교 학부모회를 대상으로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계획서'를 공모하는 등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현재 시교육청은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학부모 활동계획서를 받아 106개 지원대상 학교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학교 학부모회에는 모두 4억 5589만 원(교과부 3억 1100만 원)을 투입, 교당 400만 원 내외의 예산을 지원한다.
도교육청 역시 모두 6억 9300만 원(교과부 5억 5800만 원)을 투입해 도내 초·중·고 학교 학부모회 중 240개 이상을 선정, 활동 계획서 평가 결과에 따라 200만~400만원까지 차등 지원한다.
지원금은 학부모 교육정책 모니터단 및 학부모 학교 참여 시범학교 운영 등에 투입된다.
그러나 시민단체 및 일부 학부모들은 맞벌이 부부 등 학교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학부모 자녀들이 자칫 학교생활에 소외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더군다나 교과부가 학부모 지원 사업 실적을 시·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할 방침이어서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학부모회 활동이 학교중심으로 진행될 우려를 낳고있다.
반면 시·도교육청은 학부모회 실적 평가 지원이 실질적인 교육 참여 보장 및 학교교육에 대한 질을 높여 사교육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교육 공동체 일원으로서 학부모가 학교교육에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하면 공교육의 질이 향상되고 교육만족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학교교육에 참여 하지 못하는 맞벌이 부부 등 의 학부모들이 자녀교육에 대한 안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조직 성격과 활동목표가 뚜렷하지 않을 뿐더러 잘못된 교육정책을 대변하는 쪽으로 변질될 수 있다”며 “학부모회가 오로지 학생들을 위한 순수한 모임이 아닌 학교운영 및 교사들을 위한 관변단체로 전락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