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적 핵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능 물질이 함유된 중국발 황사가 한반도에서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민주당 변재일 의원(청원)이 배포한 원자력안전기술원 자료에 따르면 KINS(중앙측정소)가 1998년 1월~2010년 12월까지 월별로 채집 조사한 낙진 및 대기부유진의 방사능 농도(Cs-137)를 분석한 결과 농도 범위는 낙진:불검출~252 mBq/m2-월, 대기부유진:불검출~9.87 μBq/m3 로 나타났다. 이는 식료품 반출 또는 소비 통제의 결정기준치 (물 200Bq/ℓ, 유아식품 100 Bq/kg)와 비교했을 때 극미량이다.
하지만, 방사능 유의치(2011년 기준·낙진 : 159 mBq/m2-월, 대기부유진 : 7.40 μBq/m3)을 넘어서는 수치로 2050년까지 중국이 최대 750개의 원자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어 안심하기에는 이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이미 우리나라에 황사로 농업, 첨단산업 등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핵실험,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원자로 이용 등에서 나타나는 중국 등 인접국가의 원자력 활동이 광범위하게 확장될 경우 방사능 낙진 등의 피해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변 위원은 “주변국의 원자로가 통제 불능 상황이 됐을 경우에 대비한 대응 매뉴얼 점검과 연구활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변 의원은 “황사와 대기 중의 방사능 농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대해서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없을 정도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다”며 “연구가 핵 활동 생성물들이 모래먼지 등에 붙어서 운송될 것으로 추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일본 사태를 교훈 삼아 잠재된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