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고물가, 전세난, 취업난 등 4대 민생대란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파문으로 지역민심이 악화되면서 4·27 재·보궐선거와 내년 총선을 준비하고 있는 여당의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과학벨트 입지 논란은 전국 지자체의 가세로 국론분열 양상을 띠면서 4월 이후 입지가 결정되더라도 후유증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2월 경북 안동발로 시작된 구제역은 16일 충북 전역의 가축이동제한이 해제되면서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2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도내에서 사육 중인 소, 돼지 등 가축 40%가량이 살처분 매몰됐다. 음성, 증평 등 일부 지역의 양돈산업은 붕괴수준에 이를 정도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매몰지역의 침출수 유출 등 2차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이같이 가축전염병 창궐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정부의 조기 차단 실패에 대한 축산농가의 원성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고물가로 인한 물가대란도 민심이반에 한몫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고공행진을 이어오면서 서민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지만, 정부가 마땅한 물가억제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또 전세난, 취업난 등 민생대란 대책이 없어 지역민심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경제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가 좋아진 것이 없다”며 “특히 서민들의 경우 치솟는 물가로 인해 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정부의 물가대책은 없어 민심이반이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4대 민생대란뿐 아니라 과학벨트 파문이 충북 등 충청권 민심을 더욱 자극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구축 대선공약인 과학벨트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하면서 충청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전국의 지자체까지 과학벨트 유치에 경쟁적으로 뛰어들면서 충청권 입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과학벨트가 분산배치될 경우 충청권 반발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고, 공약을 이행하더라도 이미 정부와 여당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 상태로 각종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과학벨트가 제2의 세종시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세종시 역풍을 맞은 한나라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바닥 민심이 너무 좋지 않다. 민생대란뿐 아니라 과학벨트 문제도 악재가 될 수 있다”며 우려감을 나타냈다.
지역 야당은 민생대란과 과학벨트 파문으로 지역민심이 정부와 여당에서 멀어졌고, 내년 총선까지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의 한 야당 관계자는 “정권 말기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것이 없는 한 여당이 각종 선거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민심이반이 심화되고 있어 내년 총선에 나설 참신하고 경쟁력 있는 인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선거가 어려워진다”며 위기 극복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 모색과 총선 승리를 위한 물갈이론을 제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