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로 원자력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가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원자로’는 안전하다”고 밝혔다.
시는 그동안 원자력발전소의 100분의 1규모로 산업·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등을 연구개발하기 위한 열출력 30㎽급의 연구용원자로인 하나로원자로의 안전을 위해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원자력안전대책을 강구해 왔다.
아울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하나로원자로의 안전여부를 확인해 왔다.
특히 이번 일본의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를 계기로 원자력연구원에서도 하나로원자로에 대한 일상점검을 강화하고 방사선 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
현재 하나로원자로 주변의 방사선 준위는 14마이크로뢴트겐(μR/h)으로 평상시 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실시간 점검에서도 정상상태로 매우 안전한 상태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하나로원자로는 또 일본의 원자력발전소와는 달리, 개방수조형 원자로로 직경60㎝, 높내 70㎝의 작은 원자로를 깊이 14m, 직경 5m의 대형 수조에 담아 방사능 누출우려가 없으며, 비상시에도 자연유하식으로 비상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돼 있다는 것.
시는 또 하나로원자로 건물도 1등급 내진설계로 시공돼 내진성이 강하고, 현재까지 지진에 의한 피해사례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오는 5월 하나로원자로에서 22개 기관·단체에서 2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사능방재 합동훈련을 실시해 방사능 사고 시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고, 유관기관 간 협조지원 체계를 확인해 문제점이 있을 경우 적극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시는 그동안 원자력발전소의 100분의 1규모로 산업·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등을 연구개발하기 위한 열출력 30㎽급의 연구용원자로인 하나로원자로의 안전을 위해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원자력안전대책을 강구해 왔다.
아울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하나로원자로의 안전여부를 확인해 왔다.
특히 이번 일본의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를 계기로 원자력연구원에서도 하나로원자로에 대한 일상점검을 강화하고 방사선 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
현재 하나로원자로 주변의 방사선 준위는 14마이크로뢴트겐(μR/h)으로 평상시 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실시간 점검에서도 정상상태로 매우 안전한 상태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하나로원자로는 또 일본의 원자력발전소와는 달리, 개방수조형 원자로로 직경60㎝, 높내 70㎝의 작은 원자로를 깊이 14m, 직경 5m의 대형 수조에 담아 방사능 누출우려가 없으며, 비상시에도 자연유하식으로 비상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돼 있다는 것.
시는 또 하나로원자로 건물도 1등급 내진설계로 시공돼 내진성이 강하고, 현재까지 지진에 의한 피해사례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오는 5월 하나로원자로에서 22개 기관·단체에서 2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사능방재 합동훈련을 실시해 방사능 사고 시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고, 유관기관 간 협조지원 체계를 확인해 문제점이 있을 경우 적극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