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강진과 쓰나미로 사상 최악의 피해가 발생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긴급 구조대를 현지에 급파,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국 긴급구조대 역시 지난 15일부터 현지 구조작업에 본격 착수하고, 정부도 2차 파견 구조대까지 구성했지만 출국이 지연되면서 이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정부는 일본 센다이시의 사상자가 수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1차 구조대에 이어 추가 구조대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과 충남소방본부 10명을 포함해 각 시·도 소방본부에서 뽑은 100여 명으로 2차 구조대를 구성했다. 대원들은 개인장비를 비롯해 음향탐지장비, 매몰자 영상탐지기 등을 갖추고 출발을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추가 구조대 파견일정이 정해지지 않으면서 갖가지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선 대지진 이후 잇단 원전 폭발로 방사능 공포가 확산되면서 추가 구조대 파견 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물질 누출 사태가 심각해지자 17일 캐나다 의료구호팀 7명이 현지 철수를 결정했다.
파견 구조대원들에게 방사능 방호복이나 탐지장비가 지급되더라도 방사능에 장기간 노출되면 위험할 수 있어 정부 역시 추가 파견에 적잖은 부담이 따를 수 있다.
또 한국 구조대 파견에 대해 일본 네티즌의 반대 여론이 확산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추측도 있다. 최근 우리나라 구조대 파견 소식이 알려지자 일본 포털사이트 등에는 “구제역 옮기니 오지말라”, “한국 도움은 필요없다”는 식의 비난 글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가 감지되자 소방방재청도 최근 시·도 소방본부에 추가 구조대 파견 홍보를 자제해 달라는 식의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외교부 관계자는 “1차 구조대 지원이후 추가로 파견될 구조대원 명단을 작성했지만 정확한 출국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추가 파견은 일본 측의 요청이 있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요청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방사능 문제는 구조대 파견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만큼 정부 역시 신중하게 판단할 것이며 일본 네티즌의 반응은 고려대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