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충북지역 문화정책은 민선 4기 3년을 맞아 자치단체장의 문화공약이 연차적으로 이뤄져 지역문화 활성화와 향후 문화정책의 방향전환에 일정 부문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거시적인 틀에서 문화예술 지원정책 아젠다 개발, ‘문화’를 중심에 둔 로드맵 구축에 대한 연구작업은 미흡했다. 자치단체의 문화정책들이 문화의 외형은 증가시켰지만 경제론에 치우친 나머지 문화가 경제에 종속됐다는 지적이다.
대부분 전시행정 위주의 관치(官治) 문화와 정책들은 방향성이 불투명해 문화예술인들의 반발을 샀고, 지역예술진흥을 위한 ‘충북문화예술 중장기계획’도 10년을 주기로 ‘붕어빵 찍어내듯’ 발표에 그쳐 비판의 표적이 됐다.
올 문화정책의 관심사는 충북도가 제시한 문화선진도 5대 전략 청사진을 꼽을 수 있다. 문예진흥기금 조성확대, 예술활동 지원규모 확대, 문화기반시설 확충을 주요내용으로 지역문화예술 육성을 위한 정책을 확대함으로써 기초예술분야에 기대감을 던져주었다.
충북메세나협회 창립, 문화헌장 선포, 도립 챔버오케스트라 창단, 충북문화예술포럼 결성 등 일부 사업은 가시적이었다. 하지만 장맟빛 청사진이라는 논란과 재원 마련 등 정책현실화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았다.
더욱이 고사상태에 놓인 ‘지역문화’를 살리기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된 문화선진도는 원래 취지와 달리 지역현실과 다소 괴리된 정책임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특히 예술단 장르선정, 도·시립미술관 건립 추진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여러 예술단체들의 다양한 욕구와 불만을 조정해 내지 못해 눈앞의 현안에 끌려다니는 등 정책은 없고 시책만 반복하는 현상을 빚었다.순수 문화예술에 대한 예산은 충북도의 총예산 대비 문화예산 비율 0.19%에서 0.22% 이상 확충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외형적인 수치에 머물렀다. 충북도가 문화 예산증액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비한 수준이다.
도 문화예술진흥 정책은 여전한 ‘소액다건 식’ 사업과 사후 평가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올해는 청주시립예술단 운영과 쇄신에 따른 목소리도 일부에서 제기됐다. 청주시향이 수년째 서울 교향악축제에 초대받지 못해 홍보마케팅과 다양한 기획 프로그램 개발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표출됐다. 한국공예관과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예인을 위한 매니저 제도를 도입해 공예산업 육성과 창작환경을 개선했다. 이는 민간 차원에서 전개된 메세나 운동의 일환으로 우수 작가발굴에 활력소 역할을 했다.
도내 일부 자치단체들은 애드벌룬 식 문화정책, 문화마인드 부족, 문화공약 부재와 남발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노출시키며 지탄을 받기도 했다. 문화정책 수립의 전문인력 부재는 그래서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끝> 이현숙 기자 leehs@cctoday.co.kr
그러나 거시적인 틀에서 문화예술 지원정책 아젠다 개발, ‘문화’를 중심에 둔 로드맵 구축에 대한 연구작업은 미흡했다. 자치단체의 문화정책들이 문화의 외형은 증가시켰지만 경제론에 치우친 나머지 문화가 경제에 종속됐다는 지적이다.
대부분 전시행정 위주의 관치(官治) 문화와 정책들은 방향성이 불투명해 문화예술인들의 반발을 샀고, 지역예술진흥을 위한 ‘충북문화예술 중장기계획’도 10년을 주기로 ‘붕어빵 찍어내듯’ 발표에 그쳐 비판의 표적이 됐다.
올 문화정책의 관심사는 충북도가 제시한 문화선진도 5대 전략 청사진을 꼽을 수 있다. 문예진흥기금 조성확대, 예술활동 지원규모 확대, 문화기반시설 확충을 주요내용으로 지역문화예술 육성을 위한 정책을 확대함으로써 기초예술분야에 기대감을 던져주었다.
충북메세나협회 창립, 문화헌장 선포, 도립 챔버오케스트라 창단, 충북문화예술포럼 결성 등 일부 사업은 가시적이었다. 하지만 장맟빛 청사진이라는 논란과 재원 마련 등 정책현실화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았다.
더욱이 고사상태에 놓인 ‘지역문화’를 살리기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된 문화선진도는 원래 취지와 달리 지역현실과 다소 괴리된 정책임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특히 예술단 장르선정, 도·시립미술관 건립 추진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여러 예술단체들의 다양한 욕구와 불만을 조정해 내지 못해 눈앞의 현안에 끌려다니는 등 정책은 없고 시책만 반복하는 현상을 빚었다.순수 문화예술에 대한 예산은 충북도의 총예산 대비 문화예산 비율 0.19%에서 0.22% 이상 확충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외형적인 수치에 머물렀다. 충북도가 문화 예산증액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비한 수준이다.
도 문화예술진흥 정책은 여전한 ‘소액다건 식’ 사업과 사후 평가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올해는 청주시립예술단 운영과 쇄신에 따른 목소리도 일부에서 제기됐다. 청주시향이 수년째 서울 교향악축제에 초대받지 못해 홍보마케팅과 다양한 기획 프로그램 개발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표출됐다. 한국공예관과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예인을 위한 매니저 제도를 도입해 공예산업 육성과 창작환경을 개선했다. 이는 민간 차원에서 전개된 메세나 운동의 일환으로 우수 작가발굴에 활력소 역할을 했다.
도내 일부 자치단체들은 애드벌룬 식 문화정책, 문화마인드 부족, 문화공약 부재와 남발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노출시키며 지탄을 받기도 했다. 문화정책 수립의 전문인력 부재는 그래서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끝> 이현숙 기자 lee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