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 논란에 대해 과학계의 쓴 소리가 이어졌다.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와 정부출연연구기관발전협의회(이하 연발협)는 16일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간담회를 갖고 과학벨트 관련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심 대표는 “현실적으로 과학벨트 입지로는 세종시가 최적지라고 생각하며, 여기에 대한 과학계의 응원을 기대한다”면서 “세종시가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핵심이 돼야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과학계는 입지 문제에 대한 직접 언급을 피하는 대신 과학벨트 설치의 목적과 역할 정립에 대한 지적을 잇따라 쏟아냈다.
A 출연연 소속 박사는 “과학벨트가 너무 급하게 추진되면서 과학계와의 의견 교류도 없이 진행됐다”며 “국가 백년대계 과학기술을 정립할 과학벨트가 지역 이기주의에 따라 무작정 유치 대상이 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우려했다.
B 출연연 박사도 “기존 출연연들이 예산을 타기 쉬운 프로젝트로만 몰리면서 기초과학 발전이 어려웠다”며 “때문에 무작정 기초과학연구원을 새로 만들려 하기 보다는 기존 출연연의 본래 기능을 되짚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세종시를 과학벨트의 적지로 은연 중 내비치는 발언도 나와 관심을 끌었다.
C 출연연 박사는 “대덕이 스스로 발전하면서 오창 등으로 자연 확대되고 있는데, 인공적인 과학벨트는 시작부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기존 대덕과 오창, 여기에 외국인 정주여건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박사는 “기초과학연구원이 어디로 가던 중이온가속기와 지리적으로 떨어져서는 절대 안된다”며 과학벨트 나눠먹기를 경계했다.
이에 심 대표는 “과학계가 과학벨트에 대한 정부정책에 신뢰가 없음을 느꼈다”며 “대덕의 연구원들이 대거 참여하는 과학벨트토론회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