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물가 안정을 도모를 위한 간담회가 15일 청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려 한범덕 시장이 간담회에 참석한 단체·협회장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덕희 기자  
 

청주시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물가 안정에 기여한 개인사업장을 대상으로 각종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생기고 있다.

15일 시는 서민 경제 관련협회와 단체장들을 초청해 지방물가 안정을 도모키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서민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청주지역 개인서비스요금협회장과 소비자관련단체를 대상으로 개인서비스요금 인상 자제 및 자발적인 지역 물가안정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시는 청주시내 각 전통시장에는 과다한 요금을 자제해줄 것과 소비자단체와의 물가 합동 지도·단속 모니터링을 강화해 불공정 거래행위를 차단함으로써 물가 합동관리체계를 강화해 나간다는 등의 물가안정 대책을 세웠다.

하지만 시의 이 같은 방침은 이미 이미용비, 음식점 밥값, 세탁비, 숙박료 등 거의 모든 개인서비스요금 품목에서 요금인상이 이뤄진 이후에 나온 것으로 때 늦은 뒷북 행정이라는 비난이 적지 않다.

게다가 시가 개인서비스요금 인상 억제를 위해 내놓은 개인별 사업장의 가격정보 공개와 물가안정 및 지방공공요금 안정에 기여한 업소에 쓰레기 규격봉투를 지급하는 등의 대책은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부터 실시해온 이 같은 물가 안정 대책들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 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신규 추가된 물가안정 모범업소에 명패를 제작해 지원하는 사업도 단순히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니냐는 일각의 비판 여론도 적잖다. 이미 원자재를 포함한 물가가 지나치게 올라 서비스업소들도 가격 인상을 하지않을 경우 폐업을 해야한다고 아우성이다. 그나마 인건비가 주를 이루는 이미용업소들의 가격인상을 억제하려 해도 대부분의 업소가 10~20%가량 인상을 마친 상태다.

시민 김모(42·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씨는 "이발비부터 음식 값까지 모든 업소에서 가격이 오르지 않은 품목이 없다"며 "공무원들이 사무실에 앉아 탁상공론만 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을 펼쳐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역계 한 인사는 "지난해 말부터 물가는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지만 시에서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한 일이 뭐가 있느냐"며 "정부의 실패한 경제정책도 문제지만 시의 실효성 없는 물가 안정 대책도 돌이켜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청주시 관계자는 "설 이전부터 개인서비스요금 안정을 위한 각 협회장들과의 면담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며 "현재 물가 인하보다는 더 이상의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해 민간 사업장들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