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시는 보육의 공공성 강화와 보육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해 올해 보육예산을 전년대비 15.2% 증액한 1904억 원을 편성, 보육수범도시를 위한 다양한 선진 보육시책을 펼친다.
우선 보육료 지원을 중산층까지 확대해 영유아 가구 상위 30%를 제외한 소득하위 70% 이하(소득인정액 480만 원·4인 가족 기준) 서민·중산층 가구와 보육지원이 절실한 맞벌이가구(월 소득 450만 원 이하·4인 가족 기준) 아동에게 보육료를 전액 지원키로 했다.
또 다문화가정에게는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보육료를 100% 지원하며,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차상위 계층(월 소득 173만 원 이하·4인 기준)에게는 만 36개월 미만까지 10만~20만 원의 양육수당을 지원하고, 셋째아 이상부터는 출생 후 13~72개월(취학 전)까지 60개월 동안 최고 20만 원의 보육료를 지원한다.
특히 맞벌이 부모들이 언제든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평가인증률을 높이는 한편, 인증보육시설을 모두 1050개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인프라 강화를 위해 어린이 집 이용 법정 저소득층 아동에게 간식비를 지원하고, 정부지원 인센티브 이외에 평가인증 어린이집에는 프로그램 개발비를 추가로 제공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지역에는 모두 1536개의 어린이집에서 4만 2200여 명의 영유아를 돌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통해 좋은 프로그램과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 건강한 먹을거리 제공 등으로 언제든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을 조성해 출산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