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지를 결정할 과학벨트심의위원회 당연직 위원 7명 가운데 4명이 영남 출신이며, 충청권 인사는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돼 편중 논란이 일고 있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가 이번 주 공포될 예정인 과학벨트법 시행령에 규정하고 있는 당연직 위원 출신을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왔다.

권 원내대표에 따르면 과학벨트위원회 위원장을 맡게 될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경북 대구 출신이며, 당연직 위원으로 예정된 안양호 행정안전부 제2차관은 경북 김천, 안현호 지식경제부 제1차관은 경남 함안, 최원영 보건복지부 차관은 경남 창녕 출신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임종룡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전남 보성,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은 서울 출신이지만 이명박 정부 청와대 비서관 출신들이며, 특히 김 차관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이사를 역임했다.

이 밖에 정창수 국토해양부 제1차관이 위원에 포함됐다.

이에 대해 권 원내대표는 지난 11일 당 5역회의에서 “당연직 위원 7명 가운데 4명이 영남 출신이고, 특히 위원회 간사를 맡을 예정인 추진기획단장도 최근 충청권 인사에서 영남 출신으로 교체됐다”며 “위원 구성이 특정지역에 유리하도록 편향돼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최근 과학벨트추진기획단장이 충남 보령 출신의 편경범 전 단장에서 경남 합천 출신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건설추진단장을 지낸 손재영 단장으로 교체됐다.

권 원내대표는 이 같은 과학벨트위원회 구성에 대해 “합법을 가장한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의사결정구조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위원을 구성하고, 지역갈등을 명분으로 투명성이나 공개방식을 거부하는 등 객관적 검증을 막을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임영호 의원(대전 동구)도 지난 11일 국회 5분 자유발언에서 “과학벨트 입지 선정을 하는 20명의 위원 중 정부를 대표하는 당연직 7명 대부분은 영남출신이거나 청와대 출신으로 대통령과 형님의 뜻을 거스르기 어려운 사람들”이라며 “법에 따라 입지를 정하겠다고 정부는 주장하지만 특정지역으로 몰아가기 위한 수순이라는 의심을 접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정을 앞둔 과학벨트 시행령(안)에는 당연직 위원 외의 외부위원 역시 이주호 교과부 장관이 위촉하도록 돼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