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이 대전·충남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지진피해 복구가 장기화될 경우 지역 경제에 큰 여파가 몰아닥칠 전망이어서 일본 현지의 조속한 피해복구가 지역 경제의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대전·충남지역의 지난해 대일 무역 규모는 수출 35억 3381만 7000달러, 수입 30억 5569만 6000달러 등으로 수출의 경우 지역 전체 수출의 7%로 3위 수준, 수입은 대전이 19.5%, 충남이 10.1%로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일본산 원자재 수요가 높은 반도체와 평판디스플레이 등 지역 주요 수출품의 경우 원자재 수급 차질이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지역 내 대일무역 업체들은 우선적으로 재고를 이용한 생산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일본의 산업기반 타격으로 공장가동이 중지된 것을 감안할 때 복구가 장기화 될 경우 영업 차질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 등 유통가는 생태, 갈치, 고등어 등 일본산 수입 수산물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신선식품 물가가 상승하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이 늘어난 상황에 이번 지진으로 인해 현지 조업량이 줄어 공급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11일 발생한 지진의 영향으로 현지 갈치 조업 선박이 절반 가량 줄고 어획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알고 있다”며 “막상 현지와 연락이 두절돼 현지 시세가 폭등했다는 추측만으로는 판단이 어렵지만 피해 복구가 길어져 공급이 불안정할 경우 일본산 수산물의 가격 상승은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 대형마트는 매출 영향에 대해 대부분의 소비량이 지역민들인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지진의 여파가 매출 타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광산업 역시 현 시점에서는 지진의 여파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인 관광객의 수가 공주·부여 등 백제문화권에 집중된데다 규모가 수도권, 부산 등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업계는 최근 일본 중·고교 수학여행으로 백제문화권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지진피해 여파가 장기화 될 경우 지역 관광업체 및 지역 상권의 불황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이번 일본 대지진이)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세계 3위이고 지난해 한국과 교역규모가 924억 달러나 되는 2위 무역 상대국인 만큼 지속적으로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