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대전시장은 10일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분산 배치 및 중이온가속기의 배제를 경계해야 한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염 시장은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정례 기자회견에서 “충청권이 과학벨트에 대해 잘 대처하고 있지만 새로운 각도에서 이 문제를 봐야 한다”면서 “정부가 ‘과학벨트 사안을 법대로 하겠다’고 했지만 이 주장에는 큰 함정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법대로 하면 정부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우선 특별법에 의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입지를 결정한다. 위원장은 교육기술과학부 장관이고, 차관들이 당연직 위원으로 정부가 임명하는 과학자들이 위원들로 구성된다. 결국 법대로 한다는 것은 정부 맘대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경계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과학벨트의 분산배치와 관련해서는 “현행 법대로 하면 분산배치가 가능하며, 한나라당 및 타 지역에서도 분산배치를 언급하거나 주장하고 있다. 또 특별법에는 ‘대형연구설비’로만 표시돼 있어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빠질 수도 있다. 특별법에 충청권과 중이온가속기 명기가 빠진 것은 함정”이라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과학자들이 우려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중이온가속기의 배제와 분산배치”라며 “현재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과학벨트 특별법에 대한 개정 발의를 한 상태지만 한나라당의 반대여론과 지역별로 갈린 의견 등으로 상임위원회를 통과하기 어려울 수도 있어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해서는 보다 입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