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신설을 신개념 자기부상열차로 지하화하는 방안으로 사실상 확정했다. <본보 9일자 1면 보도>염홍철 대전시장은 1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최근 도시철도 2호선 신설을 위해 신교통수단인 자기부상열차를 지하화 시설로 건설하는 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염 시장은 “도시철도 2호선 건립의 대원칙은 진잠~신탄진까지 30㎞ 구간을 지하화 시설로 건설하는 것으로 60% 이상 국비지원을 받아야 하는 초대형사업이라는 점을 감안, 중앙정부의 의견도 주 고려대상”이라고 시사했다.

실제 국토해양부가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자기부상열차를 도시철도 2호선 시스템으로 선정할 경우 국비지원이 용이하고,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전이 과학도시라는 점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고, 지역에 소재한 한국기계연구원의 기술적 지원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최대 강점으로 손꼽힌다.

한국기계연구원도 지난 8일 연구원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기부상열차 기술을 활용해 인천국제공항의 여객·물류시스템 개발 등에 나서기로 했다.

염 시장은 이날 “경전철을 지상화 시설로 신설할 경우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등 문제점이 많다는 점에서 지하화 시설을 고수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시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국회와 정부를 설득,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를 개정한 점도 향후 사업추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월 대전시의 건의 사항을 받아들여 B/C(비용대비 편익) 분석기간을 기존 30년에서 40년으로 연장했고, 운영비에서 판매관리비용을 제외하는 등 B/C가 10~20% 상향 조정됐다.

염홍철 시장은 “자기부상열차의 지하화로 도시철도 2호선을 신설, 경제성을 높여 결국 예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제3의 대안이 도출됐다”면서 “다만 이 같은 계획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며, 다른 여러 가지 기종별 장·단점에 대해 전문가 자문과 시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6월 국토해양부에 예타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