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불어닥친 구제역 파동으로 충북 도내 축산농가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경북에서 시작된 구제역은 충북 등 중부권을 뛰어넘어 경기도로 번졌고, 결국 충북도 구제역 바이러스를 막지 못했다. 축산농가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가축 매몰에 따른 2차 환경 재앙도 우려되고 있다. 충북은 구제역 외에도 AI(조류인플루엔자)로 큰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다. 가축전염병의 창궐은 관련 산업에 대한 피해는 물론 지역민의 건강과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재앙 수준의 가축전염병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구제역을 계기로 가축전염병 대책을 다시 한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보는 도내 발생 실태, 후유증, 축산업 회생·방지 대책 등 3회에 걸처 점검해 본다.


지난해 12월 27일 충주의 한 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은 충북 중부권 등 지역 축산농가를 강타했다.

9일 충북도재난대책본부에 따르면 구제역은 단양, 보은, 옥천, 영동을 제외하고 청주 등 8개 시·군에서 발생해 도내에서 사육 중인 가축 83만 2000여 마리의 40%가량인 33만 6500여 마리를 땅에 묻었다. 매몰 가축 가운데 소는 6600여 마리, 돼지는 32만 6500여 마리다.

구제역 양성판정은 △청주 1곳 △충주 61곳 △제천 18곳 △청원 39곳 △증평 19곳 △진천 49곳 △괴산 48곳 △음성 57곳 등 전체 292건으로 집계됐다. 매몰지는 △청주 1곳 △충주 50곳 △제천 17곳 △청원 28곳 △증평 20곳 △진천 37곳 △괴산 24곳 △음성 52곳 등 229곳이다.

이번 구제역 파동은 도내 양돈농가에 큰 피해를 입혔다. 매몰 돼지는 도내 전체 55만 9000여 마리의 59%에 달하는 규모다. 지역별로는 돼지사육 농가가 밀집된 음성군, 진천군, 증평군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음성군과 증평군은 90%가량의 돼지가 구제역으로 살처분됐고, 도내 최대 양돈지역인 진천군도 60% 이상이 살처분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음성군과 증평군의 경우 지역 양돈산업이 사실상 붕괴된 셈이다. 충북은 바이러스의 지역 유입 방지를 위해 총력전을 펼쳤지만, 경기, 경북, 강원 등과 함께 구제역 피해가 심한 지역이 됐다. 소는 예상밖에 피해가 크지 않아 돼지가 상대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에 약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

지역별로는 단양, 보은, 옥천, 영동의 경우 축산농가 규모가 적은 이유도 있으나 철저한 방역활동 등의 노력으로 경북과 경기지역의 중간에 낀 지역임에도 불구 가축전염병 재앙을 피할 수 있었다. 간헐적으로 발생했던 구제역이 이번처럼 대규모로 발생한 것은 전례가 없었다.

충북의 가축전염병 대란은 이번뿐만 아니다. 충북은 지난 200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지역의 오명을 남겼다. 그해 12월 10일 음성군 삼성면의 만 종계 사육농가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으로 닭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로 판정했지만, 손 쓸 틈도 없이 진천군 등 주변지역으로 번져나갔다. 결국, 도내에서 사육 중인 닭 18만여 마리, 오리 45만 6000여 마리 등 가금류 63만 6000여 마리를 땅에 묻는 피해가 발생했다.

그 후 저병원성 AI는 간헐적으로 발생했으나 치사율이 높은 고병원성 AI는 도내에서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구제역, AI 등 가축전염병 대재앙 가능성은 상존해 있어 축산농가들을 위협하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