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중구 대흥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이 조합측과 비상대책위원회 간의 의견차이로 사업추진이 늦춰지고 있는 가운데 9일 이곳에 거주했던 윤상원(71세)씨가 살던 곳을 바라보고 있다. 정재훈기자 jprime@cctoday.co.kr  
 

대전 대흥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의 원만한 추진을 위해 대전시가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흥1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이 조합 측과 비상대책위원회 간 의견 차가 법정다툼으로까지 비화되고 있어 이를 중재할만한 제3자로 대전시가 거론되고 있다.

대전시가 원도심 활성화라는 대의명분을 갖고 있는 가운데 대흥1구역 민간주택 분양이 그 선봉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사업추진 여부에 따라 인근 지역 주택재개발사업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더 이상의 불상사가 있기 전에 시가 나서야 한다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재 대흥1구역의 사업추진이 답보상태를 거듭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 지역주민들은 조합과 비대위간의 토지감정에 대한 의견차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비대위 측은 토지관리자인 조합 측의 토지감정 저평가에 문제를 삼고, 비대위 소속원 소유의 한 건물에 대해 철거를 하지 못하도록 법적인 절차를 이미 끝내고, 현재 조합설립인가 취소소송을 진행 중이다.

입주권을 받아 사업추진을 기다리고 있는 조합 측에서는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비용문제와 사업추진 여부도 불명확해 지자 비대위 측을 압박하며, 서로 간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달 25일에도 대흥1구역 석면문제가 불거져 이를 회수하려는 조합 측과 비대위 간 마찰로 경찰이 출동하는 등 갈수록 감정대립은 점입가경이다.

특히 대흥1구역 부지 내 철거가 중단된 한 건물 벽에는 민망할 정도의 각종 욕설로 도배돼 있는 등 현 대흥1구역의 현주소를 증명하고 있다.

이처럼 상황이 극한으로 치닫으면서 지역주민들은 최악의 상황을 염려하며 대전시가 직접 나서 중재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역 내 한 주민은 “조합 측이나 비대위 측이나 자신들이 살았던 지역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같을 것”이라며 “작은 입장차가 해가 바뀌면서 눈덩이처럼 커져 이제는 누군가의 도움없이는 의견 차를 좁힐 수 없는 만큼 대전시가 직접 나서 그들의 생각을 듣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조합과 비대위 측 양자를 모두 만나 사업추진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했지만 그들의 입장차가 너무커져 더 이상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대흥1구역 주택재개발 사업추진은 원도심 주택재개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도 중요한 사안임에는 틀림없다”며 “하지만 시가 중재하기에는 그 한계를 벗어난 만큼 현재 진행중인 법원판결 결과 만을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