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국제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 백지화 발언(지난달 1일) 이후 가열되기 시작한 충청 민심은 점차 극점으로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여야 정치권이 ‘과학벨트 충청 입지’를 ‘여론화·공론화’하면서 노력을 펼쳐온 것도 민심의 급상승에 한몫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논란 이후 충청권 한나라당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충청민심을 중앙당에 전달하려는 시도를 펼쳐왔고, 민주당은 대전역 앞에 ‘천막당사’를 설치하고 이 대통령의 공약 파기에 강력 반발해 왔다. 자유선진당은 과학벨트 문제를 당 최대 현안으로 놓고, 야외 집회와 국회 내 입법 활동을 병행하는 등 다각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그러나 논란이 40여 일을 넘기면서 충청권 여야 정당은 극심한 피로도를 겪으며 ‘앞으로 과학벨트 문제를 어떻게 끌고 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빠지고 있다.
충청권 한나라당의 경우 ‘중앙당의 압력’과 ‘야당의 비난’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모습이 역력하다. 수시로 ‘과학벨트 충청 입지’에 대한 소신을 밝히고 있지만, 다소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에 직접 반발할 수도 없는데다, 중앙당의 눈치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박성효 최고위원이 최고위 회의 등에서 다소 강도 높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발언을 한 바 있지만, 이 역시 중앙당의 ‘함구령’에 밀려 힘을 실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민주당과 선진당 등 야당들이 한나라당을 정조준해 쏟아내는 비난도 신경을 건드리고 있다. 한나라당 충청권 사무처 협의회는 9일 논평을 통해 “야당과 충청권 자치단체가 앞장서 (과학벨트 관련) 선동적인 문구로 채워진 홍보물들을 앞장서 달고 있다”면서 “이들이 길거리 선동 말고 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과학벨트 논란에 가장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는 충청권 민주당 역시 속이 편한 것으로 아니다.
지난달 10일 대전역 앞에 과학벨트 사수를 위한 ‘천막당사’를 설치하고 길거리 홍보전을 펼쳐왔지만, ‘투쟁 일변도’라는 지적과 함께 ‘앞으로 뭘 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봉착했다.
박범계 대전시당 위원장은 9일 ‘천막당사 투쟁’ 한 달을 맞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대전역에서 철야 투쟁을 하는 모습을 시민들이 보면서 과학벨트 사수의 당위성을 깨닫게 됐고,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데 일조했다”고 자평하면서도 “철야 투쟁에 대한 부담과 난관도 많았다. 향후 투쟁 방법이나 전술은 과학벨트의 흐름을 보면서 다시 구성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선진당은 충청을 기반으로 한 정당임을 자임하고 있지만, 소수 야당의 한계를 절실히 드러내고 있다. 과학벨트 문제와 관련해 지역에서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내에서도 과학벨트 개정안 처리가 난항을 겪고 있지만 거대 여야의 힘에 밀려 겉도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과학벨트 공약이행 대전비대위 관계자는 “새로운 동력원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과학벨트 논란은 정부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이번 달과, 특별법이 발효되는 내달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며 “충청권 민·관·정이 똘똘 뭉칠 수 있는 초당적인 동력원을 찾고, 이를 중심으로 정치권과 정부를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여야 정치권이 ‘과학벨트 충청 입지’를 ‘여론화·공론화’하면서 노력을 펼쳐온 것도 민심의 급상승에 한몫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논란 이후 충청권 한나라당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충청민심을 중앙당에 전달하려는 시도를 펼쳐왔고, 민주당은 대전역 앞에 ‘천막당사’를 설치하고 이 대통령의 공약 파기에 강력 반발해 왔다. 자유선진당은 과학벨트 문제를 당 최대 현안으로 놓고, 야외 집회와 국회 내 입법 활동을 병행하는 등 다각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그러나 논란이 40여 일을 넘기면서 충청권 여야 정당은 극심한 피로도를 겪으며 ‘앞으로 과학벨트 문제를 어떻게 끌고 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빠지고 있다.
충청권 한나라당의 경우 ‘중앙당의 압력’과 ‘야당의 비난’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모습이 역력하다. 수시로 ‘과학벨트 충청 입지’에 대한 소신을 밝히고 있지만, 다소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에 직접 반발할 수도 없는데다, 중앙당의 눈치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박성효 최고위원이 최고위 회의 등에서 다소 강도 높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발언을 한 바 있지만, 이 역시 중앙당의 ‘함구령’에 밀려 힘을 실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민주당과 선진당 등 야당들이 한나라당을 정조준해 쏟아내는 비난도 신경을 건드리고 있다. 한나라당 충청권 사무처 협의회는 9일 논평을 통해 “야당과 충청권 자치단체가 앞장서 (과학벨트 관련) 선동적인 문구로 채워진 홍보물들을 앞장서 달고 있다”면서 “이들이 길거리 선동 말고 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과학벨트 논란에 가장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는 충청권 민주당 역시 속이 편한 것으로 아니다.
지난달 10일 대전역 앞에 과학벨트 사수를 위한 ‘천막당사’를 설치하고 길거리 홍보전을 펼쳐왔지만, ‘투쟁 일변도’라는 지적과 함께 ‘앞으로 뭘 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봉착했다.
박범계 대전시당 위원장은 9일 ‘천막당사 투쟁’ 한 달을 맞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대전역에서 철야 투쟁을 하는 모습을 시민들이 보면서 과학벨트 사수의 당위성을 깨닫게 됐고,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데 일조했다”고 자평하면서도 “철야 투쟁에 대한 부담과 난관도 많았다. 향후 투쟁 방법이나 전술은 과학벨트의 흐름을 보면서 다시 구성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선진당은 충청을 기반으로 한 정당임을 자임하고 있지만, 소수 야당의 한계를 절실히 드러내고 있다. 과학벨트 문제와 관련해 지역에서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국회 내에서도 과학벨트 개정안 처리가 난항을 겪고 있지만 거대 여야의 힘에 밀려 겉도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과학벨트 공약이행 대전비대위 관계자는 “새로운 동력원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과학벨트 논란은 정부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이번 달과, 특별법이 발효되는 내달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며 “충청권 민·관·정이 똘똘 뭉칠 수 있는 초당적인 동력원을 찾고, 이를 중심으로 정치권과 정부를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