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있는 교사를 우대하고 수업의 질을 높인다는 취지로 도입된 수석교사제가 지역 일선학교 현장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8년 도입 이후 단 한 번도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등 교사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수석교사제는 교장, 교감, 장학사 등 관리직과 전문직 중심 풍토를 수업중심으로 전환해 ‘수업 잘하는 교사’를 우대하기 위한 제도다.

1급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로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교원을 대상으로 선발하며 교장, 교감 못지 않은 대우를 받도록 해 교육의 질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업무는 학교 및 교육청 단위의 수업 코칭, 현장연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평가방법 개발 보급, 교내 연수 주도, 신임교사 지도 등 이다.

그러나 도입 이후 지원을 기피하는 경향이 팽배해지면서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교과부는 올해 수석교사 인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고 대전·충남지역에 지난해에 비해 2배가량 늘어난 161명의 정원을 배정했지만, 대전·충남교육청은 신청자 미달로 절반수준인 79명만을 선발했다.

더욱이 올해에는 수석교사 연구활동비를 교장과 같은 수준인 40만 원으로 늘리고 수업시수 경감비율도 40%에서 50%로 늘리는 등 지원을 강화했음에도 교사들의 지원은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지역 교육계 일각에선 매년 수석교사 배정 인원만 늘려갈 뿐 지위와 역할, 처우 등을 명시한 법제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어 역량 있는 교사들이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모 초등학교 유 모(45)교사는 “교장도 일반교사도 아닌 어중간한 입장에서 근무를 해야하는 것에 교사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수석교사는 교장, 교감 등의 승진에서 제외될 뿐더러, 수업일수 등을 제대로 채우지 못해 교원평가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호응도가 낮다”고 말했다.

여기에 대부분 교사들이 장학사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도 기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관리직보다 특별한 위상과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시·도교육청 관계자는 “법제화가 이뤄져 수석교사의 역할이 명확해지기만 한다면 교수학습전문가로서의 역할·성과는 기대이상으로 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전 29명, 충남 50명의 수석교사가 60시간의 사전 직무연수를 받은 뒤 지난 1일부터 소속학교에서 활동중이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