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등에 감염된 가축의 매몰에 따른 2차 환경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 중견 환경업체가 동물사체를 친 환경으로 처리하는 공법을 제안해 주목된다.
㈜안국(대표 조영두)은 8일 오전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구제역에 감염된 소·돼지에 대한 친 환경 처리방식으로‘질소 활용 냉동건조 공법’을 제안했다. .
이 공법은 전염병에 감염된 가축의 매몰에 따른 환경 피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동물 사체를 -196℃의 액화질소로 급속 냉동시킨 뒤 파쇄기를 이용 50mm 이하로 분쇄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특히 분쇄된 사체는 전자레인지에 활용되는 ‘마이크로 웨이브’(Micro wave) 기술을 이용해 90~95℃에서 살균 처리한 후 톱밥 등을 섞어 퇴비 또는 사료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액체탱크에 모아 별도로 처리하면 된다는 것이 업체측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질소탱크 △급냉수조 및 분쇄기 △살균기 등을 싣고 이동할 수 있는 3대의 화물차가 필요하며, 제작 돌입 후 2개월 내에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다.
처리량은 10시간 작업 기준 30여t으로, 소는 50두, 돼지는 300두, 가금류는 3만 마리에 달한다. 이럴 경우 가축 매몰시 발생할 수 있는 침출수 등 2차 환경오염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매몰지 확보에 따른 고민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처리비용은 돼지 1만 마리 당 4억 원 정도로 추산돼 기존의 매몰 방식에 비해서는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친 환경성과 매몰 후 사후관리 비용 등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해 볼수 있다는 분석이다.
안국은 이 공법을 ‘이동형 병원성 동물 사체처리기’라는 이름으로 특허 출원하고, 농림수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을 상대로 제안서를 제출해 놓은 상태다. 다만 현행법이 병원성 동물사체에 대해서는 매몰 또는 소각 방식을 규정하고 있어 법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
조영두 대표는 “NFT공법을 도입한다면 매몰에 따른 2차 환경피해를 없애고 동물사체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만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천안=전종규 기자 jjg2806@cctoday.co.kr
㈜안국(대표 조영두)은 8일 오전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구제역에 감염된 소·돼지에 대한 친 환경 처리방식으로‘질소 활용 냉동건조 공법’을 제안했다. .
이 공법은 전염병에 감염된 가축의 매몰에 따른 환경 피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동물 사체를 -196℃의 액화질소로 급속 냉동시킨 뒤 파쇄기를 이용 50mm 이하로 분쇄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특히 분쇄된 사체는 전자레인지에 활용되는 ‘마이크로 웨이브’(Micro wave) 기술을 이용해 90~95℃에서 살균 처리한 후 톱밥 등을 섞어 퇴비 또는 사료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액체탱크에 모아 별도로 처리하면 된다는 것이 업체측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질소탱크 △급냉수조 및 분쇄기 △살균기 등을 싣고 이동할 수 있는 3대의 화물차가 필요하며, 제작 돌입 후 2개월 내에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다.
처리량은 10시간 작업 기준 30여t으로, 소는 50두, 돼지는 300두, 가금류는 3만 마리에 달한다. 이럴 경우 가축 매몰시 발생할 수 있는 침출수 등 2차 환경오염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매몰지 확보에 따른 고민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처리비용은 돼지 1만 마리 당 4억 원 정도로 추산돼 기존의 매몰 방식에 비해서는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친 환경성과 매몰 후 사후관리 비용 등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해 볼수 있다는 분석이다.
안국은 이 공법을 ‘이동형 병원성 동물 사체처리기’라는 이름으로 특허 출원하고, 농림수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을 상대로 제안서를 제출해 놓은 상태다. 다만 현행법이 병원성 동물사체에 대해서는 매몰 또는 소각 방식을 규정하고 있어 법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
조영두 대표는 “NFT공법을 도입한다면 매몰에 따른 2차 환경피해를 없애고 동물사체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만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천안=전종규 기자 jjg280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