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국내 최초로 자기부상열차를 활용한 도시철도 2호선 건립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시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기획재정부에 현재의 예비타당성 조사 방법 등 제도개선을 적극적으로 건의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오는 6월 최종 보고에 앞서 시민들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기존의 중전철이 아닌 경전철로 전환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다만 기존의 경전철이 갖는 구조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타 지자체에서 도입·운영 예정인 경전철이 아닌 모노레일이나 자기부상열차 등이 새로운 대안으로 모색되고 있으며, 특히 자기부상열차가 최적의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에 따라 경전철 가운데 지역에 적합한 시스템 선정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구하고 있으며, 각 기종별 장·단점을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토해양부가 자기부상열차를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종 선정에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있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자기부상열차는 국토해양부와 한국기계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신교통수단으로 천문학적인 사업 예산이 투입된 만큼 국내 시장보다는 해외 시장으로의 기술수출을 도모하고 있어 대전을 시범 운영도시로 구축하겠다는 계산이다.

자기부상열차를 지하에 건설할 경우 비용은 경전철에 근접한 반면 효과는 중전철과 같은 교통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또 도시철도 2호선 노선 선정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서구~중구~동구~대덕구 중리동에서 신탄진을 연결하는 기존 노선이 아닌 서구~중구~동구~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에서 신탄진을 연결하는 변형된 안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와 각 지자체들이 앞 다퉈 도입한 신교통수단들이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줄줄이 좌초되거나 삐걱거리고 있어 향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립 사업에도 불통이 튈 위기다.

실제 전국 최초로 운행할 예정이던 경기도 용인 경전철은 시험운행까지 마쳤지만 용인시와 사업시행자 간 추가 비용 부담 문제를 놓고 공방을 펼치다 결국 준공을 거부하면서 개통에 차질을 빚고 있다. 김해와 부산을 잇는 김해 경전철 사업과 경기도 하남시의 BRT 등도 수요 예측 잘못으로 비슷한 처지에 놓였다.

임철순 시 도시철도기획단장은 “차량의 기종과 건설방식 선정의 기준은 교통수요와 사업비(재정여건)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정성과 효율성과 함께 타 지자체 사례 및 정부의 정책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