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리비아 사태 및 두바이(Dubai) 국제 유가 상승으로 에너지 위기 ‘주의’ 경보가 발령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위기 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7일 대전시에 따르면 에너지 위기 경보는 국제원유가격 및 전력 수급추이에 따라 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로 나눠 공공부분과 민간부분에 대해 조명·수송·냉·난방 효율 등을 통제해 에너지 사용을 강제로 제한한다.
에너지 위기 경보발령에 따라 시는 지난 2일부터 엑스포다리, 월드컵경기장, 목척교 조형물, 갑천가동보 등 공공시설물의 경관조명을 소등했다.
8일부터는 금융기관, 백화점 등 대규모 점포, 자동차 판매소(영업시간 외 소등), 유흥업소(오전 2시 이후 소등), 골프장,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옥외 야간조명과 옥외 광고물(영업시간 외 소등), 주유소와 충전소(주간은 소등, 야간은 2분의 1만 조명) 등도 옥외간판·조명의 사용이 제한된다.
시는 또 에너지 수급의 안정을 위해 5개 자치구 및 에너지관리공단 등과 함께 대상시설물에 대한 현황 파악을 마쳤으며, 승용차 5부제(공무원 등 공공기관 종사자)를 강화하고, 일반음식점 및 기타 도소매업소에 대한 소등도 권고 조치로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지킴이 시·구 6개반 200명과 함께 홍보물 배포, 협조공문 발송 등 집중 홍보 활동을 전개했으며, 8일부터는 위반업소에 대해 횟수에 따라 최고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신태동 시 경제정책과장은 “최근 급격한 유가상승으로 국가적 에너지 위기경보에 따라 위기 대응 대책을 마련, 시행한다”면서 “대상 사업장은 물론 각 가정에서도 불필요한 전등 소등과 저소비 전열기구 등을 사용해 에너지 절약 시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해 전국 기관별 에너지 사용실태 점검에서 12%의 에너지 절감율을 기록, 16개 시·도 가운데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