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과학ㆍ응용연구 및 비즈니스와의 연계를 통한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전략 공동 포럼이 4일 대덕특구연구본부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기조발제를 듣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대전시는 7일 시청에서 ‘제2차 미래대전기획위원회 과학분과, 과학벨트 조성 자문회의’를 열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사수를 위한 총체적 대응방안을 검토한다.

대전발전연구원 등이 주최하는 이번 회의에는 김안제 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장, 송하중 전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장(장관급), 김대유 전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참석해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에 대한 당위성을 역설한다.

이와 함께 대통령 공약 및 정부약속 이행 모색을 위한 대응논리와 이를 통한 대정부 압박책을 제시할 방침이다.

여기에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대전비상대책위원회 공동대표 8명 등도 배석해 과학벨트 사수의지를 위한 충청민심과 강력한 의지를 여과 없이 표출할 계획이다.

특히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장은 ‘충청권 과학벨트 조성 타당성’이라는 제안발표를 통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5가지 항목을 통해 강조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대학 및 연구기관, 산업과의 연계효과 우수 △가속기 및 산업을 위한 전기·용수·부지확보 용이 △국제적 정주 및 녹색도시환경 구축 △국내외 접근성 양호 △지반안정과 재해안정 지역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앞서, 과학벨트 조성 충청권추진협의회는 지난 4일 대덕특구지원본부에서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전략 공동포럼’을 열고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공고히 했다.

포럼에는 염홍철 대전시장, 김종민 충남도 정무부지사, 고규창 충북도 정책관리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조발제, 분야별 발제,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 유희열 전 과학기술부 차관은 지리적 접근성과 연구자원 집적, 국제적 도시환경, 세종시와의 연계성 등을 과학벨트 추진의 강점으로 제시했다.

유 교수는 “1970년 대덕연구단지 건설 때도 집적화의 이점이 크다는 것을 중요시했다”면서 “국가 연구자원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대덕과 수도권지역 연구원들의 접근성이 용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는 최소한 6~7년 전부터 여러 단계와 절차를 거쳐 지난해 1월 11일 확정된 것이다. 당시 정부는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를 정부안으로 확정했고 어떤 단체, 과학자, 지자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면서 “이제와 재차 (입지를) 재논의하자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종민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합리적 판단에 따른 예측 가능한 사회가 되는 것이 국격을 높이는 길”이라며 “과학벨트는 이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규창 충북도 정책관리실장은 “이미 충북도는 첨단의료복합단지의 대구 분산배치로 인해 국가경쟁력 약화와 산업의 연계성 저하의 폐해를 경험하고 있다”면서 “(과학벨트의) 분산배치 문제는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