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3월부터 도내 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관리할 수 있는 통합 조직(기구) 건립이 미뤄지고 있다.
현재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전국 자치단체들은 대체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건립, 급식 업무를 돕고 있다.
학교급식지원센터는 기존에 학교 단위별로 이뤄지는 구매절차를 통합해 유통비용 절감과 친환경 식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센터 건립에 들어가는 비용과 기존 납품업자들과의 마찰로 충남 각 시·군은 서로 눈치만 살피고 있다. 이에 따라 충남도내 일부 초등학교는 친환경을 포함한 식재료의 선택과 구매에 있어 정보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6일 충남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 운영되고 있는 학교급식지원센터는 당진군 농산물유통센터 내 1개소뿐이다.
당초 도는 학교급식지원센터 건립과 운영에 필요한 비용이 만만치 않은 만큼 4개 권역별로 지원센터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원센터 건립 비용이 만만치 않아 선뜻 나서는 시·군이 없을뿐더러, 한 개의 센터가 4개 시·군을 담당하기 때문에 지역 농산물이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지 못할 우려가 제기되고 기존 식재료 납품업체와의 마찰도 빚어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향후 단순 무상급식이 아닌 ‘친환경’ 무상급식을 시행하기 위해 학교급식지원센터가 필요하지만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합의점을 찾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언제까지 학교급식지원센터의 설립을 미룰 수도 없다는 점이다.
현재 각 학교의 급식업체가 개별적으로 납품업자를 선택해 식재료를 공급받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친환경 농산물이 급식에 사용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A 초등학교 영양사는 “무상급식을 실시하면서 도 관계자가 찾아와 급식실태 점검과 동시에 친환경 식재료와 지역 내 농산물 사용을 권장했지만 현재는 친환경 농산물의 구입 경로와 가격 정보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무상급식은 실시 됐지만 기존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 보완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해 도 관계자는 “권역당 학교급식지원센터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50~60억 원이 필요하다”며 “일단 당진 학교급식지원센터의 시범 운영 결과를 지켜본 후 협의를 통해 학교급식지원센터 추가 건립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