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의 연이은 사업철회 발표·요청이 진행되는 가운데 대전 동구에 일촉즉발의 긴장감마저 감돌고 있다.

특히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사업구역을 갖고 있는 동구는 그야말로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 3일 LH는 국토해양부에 경기 오산 세교3지구 사업철회를 요청했다.

이는 전국 138개 미보상지구 가운데 최초의 신도시 사업 철회로 상당한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앞서 LH는 지난달에는 충남 홍성 오관지구 주거환경개선 사업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LH는 홍성군에 오관지구 사업이 3~5년 이내 추진이 불투명하고 경영안정과 외부 여건 활성화 등의 요인을 고려해 추후 사업 추진을 재개한다는 공문을 발송, 사실상 포기의사를 타전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동구는 대신2구역, 소제, 천동3구역, 대동2구역, 구성2구역 등 5개소에 총 사업비 2조 7000억 원 규모의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이 있어 LH의 이 같은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실정.

특히 동구 관내 주거환경 정비사업 5개소는 실질적으로 지난 2005년부터 사업이 입안·시작된 구역으로 LH의 신규 사업 위주로 구성된 ‘사업포기 살생부’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사업성과는 별도로 주민 주거복지의 공익적 요소가 강해 사업성 위주의 택지, 산업단지, 신도시 등과 성격이 판이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홍성의 전례처럼 공문 한 장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백지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일부 주민들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LH의 사업조정안 발표에 적잖은 피로감과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당초 주민들은 지난달까지 LH의 명확한 사업추진 여부를 요청했지만 LH는 전혀 미동조차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동구 관계자는 “5개소의 사업구역이 밀집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동구의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는 반증”이라며 “주거환경개선사업은 공익성의 측면에서 논의돼야 하는 문제이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LH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기본적 제도개선과 방향설정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사실상 사업성이 제로에 가까운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전반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