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 초·중학교와 특수학교 학생들에 대한 무상급식이 2일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식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급식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북도내 초·중학교와 특수학교 등 400개 교는 2일부터 개학과 동시에 16만 3500여 명에게 전면 무상급식을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전국을 강타하면서 소고기와 돼지고기가격이 최하 30%에서 최고 100%까지 급상승하고, 강추위로 인해 채소류가격이 25~30%까지 인상되는 등 식재료 값이 급등하면서 질적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이집트와 리비아 등에서 발생한 자유화 열풍에 따른 영향으로 유류가격이 200원 대까지 치솟으면서 유통비용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일부 지자체가 당초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도와의 무상급식 분담비율이 6대4로 결정되면서 지나친 예산 부담 때문에 교육환경개선비용, 교육경비보조금은 물론 친환경 식재료 구입비까지 삭감해 더 이상의 추가 예산 편성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도교육청은 물가가 계속 치솟자 지난달 중순 도매업자를 통해 구입하던 식재료를 지역농산물 이용 또는 산지 직거래 운영방식으로 전환하고, 소규모 학교나 원거리 학교는 식재료 공동구매제를 운영해 단가를 낮추도록 하며 육류식품의 경우 닭, 생선, 두부, 어묵, 계란 등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등 물가상승에 따른 급식대책을 강구할 것을 일선학교에 지시했다. 또한 학교급식점검단을 활용해 시·군별로 월 2차례씩 물가와 급식만족도 등을 모니터링하기로 했으나 식재료 값 급등에 따른 예산 고갈에 대비한 계획이나 대안은 마련하지 못했다.

충북도에서도 아직까지 식재료비 상승에 따른 질적 저하를 막기 위한 계획이나 대안은 마련돼있지 않다.

이에 대해 충북도교육청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3월과 8월 11월 등 3차례에 걸쳐 예산을 주기로 돼 있고 각 학교마다 1년치 예산이 편성돼 있어 당장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1분기 또는 1학기 동안 운영해보고 예산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도 "한 학기를 운영해보고 예산이 부족하면 추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