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은 2일 ‘신뢰정치 구현’을 강조하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날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는 한나라당의 지난 17대 대통령 선거의 공식 공약집에 있다”며 책임 정치 차원에서 대통령의 공약은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의원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가장 중요한 근거이자 철학적 바탕은 ‘신뢰정치 구현’에 있다. 정치인이나 정치집단이 국민들께 드리는 말은 단순한 말 이상이다. 더욱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는 한나라당이 지난 17대 대통령 선거는 물론 18대 총선과 최근의 6.2 지방선거를 대비한 공식 공약집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이다. 국민과의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는 공당의 역할을 다하고, 집권 여당으로써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잇따라 과학벨트의 원점 출발을 언급했다.
“지난해 통과된 과학벨트법에는 입지 선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 그리고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과학벨트위원회가 실무적인 준비와 기획을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법적인 절차와 객관적인 선정절차에 의한다고 한다면,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는 더 확실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정부 주요 행정시설이 위치하게 될 세종시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보고인 대덕, 그리고 인근에 있는 여러 과학연구 시설 등 충청권이 과학벨트에 가장 적합한 입지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절차가 될 것이다.”
-여권 일부에선 과학벨트의 분산배치를 주장하고 있다. 이럴 경우 집적도에 따른 효율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과연 분산배치를 합리적 방안으로 보는가.
“여권 내부뿐만 아니라 과학벨트 입지선정에 뛰어들지 않은 지역이 없을 정도로 혼란이 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에 분산배치한다는 발상은 오히려 지역갈등을 더 부추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학벨트가 대한민국 과학발전의 집약적이고 집중적인 발전 도모를 위해 구상되었다는 점을 상기하면 특정지역과 조건이 맞는 입지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객관적인 절차와 판단에 의한다면 충청권만 한 과학벨트 입지는 찾기가 힘들 것이며, 지역 달래기 차원의 분산배치는 과학벨트법의 취지에도 어긋난다.”
-과학벨트를 둘러싸고 대구와 경북 등 전국적으로 유치전이 전개되고 있는데 이럴 경우 이미 입지가 약속된 국책사업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 간 지나친 유치경쟁은 정치도의적으로도, 대한민국 과학발전을 위해서라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미 지난해 1월 교과부에서 충청권(세종시)이 과학벨트 입지로 가장 적합하다는 보도자료까지 낸 바 있다. 민주당 역시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당론으로 하고 있다. 자칫 과학벨트가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지나친 지역 이기주의로 비춰질까 우려된다.” <끝>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