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와 충남도교육청이 관내 초등학교에 대한 전면무상급식을 실시한 2일 충남 공주시 반포면 반포초 학생들이 점심을 먹기 위해 배식을 받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물가는 급상승했지만 무상급식 지원비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지난해보다 운영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무상급식이 전면 실시되는 천안시 성황동 모 초등학교 영양사 A 씨는 최근 치솟는 물가로 인해 고심이 깊어졌다.

충남도가 무상급식을 도내 전 초등학교로 확대 실시하며 급식비를 책정했지만, 정작 학생들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물가가 가파르게 치솟으며 일부 식자재의 경우 단가가 2~3배까지 올랐다. 하지만 올 급식비는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면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었다.

따라서 그동안 수익자 부담의 급식을 실시했던 이 초등학교는 올해부터 도의 방침에 따라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하지만 지난해 수준보다 품질이 저하된 급식을 제공할 수 도 있다.

도는 초등학교 무상급식을 위해 2600원(1인 1일 평균)을 지원하지만 이중 인건비 등을 제외하면 순수한 식자재비 구입비는 1600여원 정도이다.

영양사 A 씨는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지금처럼 물가상승이 없었던 지난해의 경우 학생 한 명 당 하루 1690원의 급식비가 소요된 반면, 무상급식이 전면 실시된 올해는 오히려 급식비가 90원 줄은 1600원이 지원된다”며 “또한 올해 물가상승분을 이에 반영한다면 친환경 무상급식은 물론이고 일반급식도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수준의 무상급식으로는 급식에 들어가는 재료의 품질을 지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제대로 된 급식을 제공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앞서 무상급식을 실시해 왔던 타 지역의 초등학교 역시 고민에 빠졌다.

연기군 조치원읍 모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 1600여 명에 대해 급식을 실시하고 있으나, 최근 물가상승이 잇따르며 비상이 걸렸다.

이 학교 영양사 B 씨는 “두부와 유제품 등은 50% 이상 올랐고 육류의 경우 80~90%로 급상승 했다.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가공제품도 덩달아 올랐다”며 “학생 한 명 당 1600원의 급식비로는 작년 수준을 상회할 순 없다”고 설명했다.

B 씨는 또 “우리학교의 경우 학생이 1600여 명으로 대규모 식자재 구입 시 단가를 저렴하게 줄일 여지가 있으나, 소규모 학교의 경우 어려움이 더욱 클 수 있다”며 물가상승에 따른 급식실시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와 함께 도내 영양사들이 친환경 및 지역내 식재료 생산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단가를 비교할 수 있는 급식정보 인프라가 없다는 점도 비용상승의 한 원인이다.

충남도는 무상급식을 오는 2014년까지 도내 전 초·중학교 622개교 21만 3000명으로 확대하며, 이를 위해 2012년 696억 원, 2013년 811억 원, 2014년 104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무상급식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앞서 마련된 사업계획에 물가상승 등 대외적 여건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탄력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도 관계자는 “우선 물가상승에 따라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며 “그 후 문제점을 점검해 도교육청과 함께 이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