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으로 예정된 디지털 방송 전환을 앞두고, 저소득층 및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전환 지원 사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저소득층을 대상 지원 예산을 대폭 삭감한 데 이어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관련 예산을 대부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부, 대전시, 충남도 등에 따르면 디지털전환 특별법에 따라 내년 12월 31일 오전 4시부터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방송으로 전면 전환된다.

디지털방송은 세계적 추세로 고화질(HD)방송을 제공하고 3DTV, 스마트TV 등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며, 독일과 미국은 지난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했으며, 일본은 올해, 영국은 내년까지 전환이 완료된다.

정부는 이에 따라 시청자 복지 차원에서 저소득층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전환 지원 사업을 시행키로 하고, 올해부터 컨버터(기존 아날로그 TV를 디지털로 전환시켜 주는 장치)를 무상지급하거나 디지털TV에 대한 구매보조, 안테나 개·보수 지원 등을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문제는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예산이 부족한데다,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지율이 낮고, 수신기기 보급률도 저조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지역별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지율을 보면 대전과 충북이 각각 75%, 79% 등으로 상위권에 포진한 반면 충남은 71.5%로 전국 평균인 70.8%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디지털방송의 수신기기 보급률을 보면 대전과 충남이 54%, 충북이 51.5%로 전국 평균인 64.7%로 비해 턱없이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어 디지털방송 전환에 따른 홍보 및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여기에 지역 내 저소득층과 장애인 등 소외계층들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디지털TV 및 컨버터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관련 장비의 설치 및 조작 등 기술적 어려움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취약계층이 디지털방송을 시청하지 못하게 되면 재난방송과 교육방송 등을 시청하지 못해 위기관리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우려된다”고 언급했지만 정작 관련 예산지원에는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해 각 지자체에서 올해 지원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