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실시되는 4·27 재보궐 선거 결과가 충청 정치권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충청 정치권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개편 가능성이 여전해 민심의 지렛대가 될 4월 총선에 정치권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충청권의 경우 4월 재보궐 선거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이나 국회의원 등 ‘규모 있는’ 선거가 없어 민심을 직접적으로 읽을 기회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다.

구체적으로 대전은 대덕구의원 1석에 대한 재선거가 예정돼 있고, 충남 보령시와 서천군, 연기군 등 3개 시·군의 기초의원, 충북 제천시 의원 선거 등이 재보궐 선거구여서 타 시·도에 비해 재보궐 선거에 대한 흥미가 덜할 것이라는 평가다.

다만 전국적으로 강원도지사, 경기 분당, 경남 김해, 전남 순천 등이 재보궐 국회의원 선거지역으로 확정되면서 충청 정치권도 선거 결과에 초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재보궐 선거가 내년도 총선, 대선에 앞서 이뤄지고 이명박 대통령 3년차를 지난 시점에서 치러진다는 점에서도 선거결과에 따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여야는 이번 선거결과에 따라 지도부 문책론 등이 뒤따를 것으로 보이고, 이에 따라 정치 역학관계의 변화도 점쳐진다.

한나라당의 경우 경남 김해에 김태호 전 경남지사를 투입하려고 하는 등 전력투구 양상을 보이고 있고, 민주당은 최문순 의원이 의원직을 사퇴하면서까지 강원도 지사 선거에 나서는 등 결기를 보이고 있다.

반면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자유선진당은 재보궐 선거 공천이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어떤 대응 방안이 나올지 관심을 끌고 있다.

선진당의 경우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재보궐 선거 이후 심대평 국민중심연합 대표 복귀 문제 등이 거론되면서 전열 정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충청 정치권 관계자는 “충청권은 이번 4월 선거에서 상징적인 선거구가 없어 민심을 읽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면서도 “선거가 전국에 분포해 있는 만큼 선거 결과는 일정 부분 충청 정치권에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