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청주·청원 통합의 키를 쥐게 될 청원군통합주민협의체 구성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종윤 청원군수는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찬·반 운동에 앞장선 인사들을 배제하라는 원칙을 밝혔지만, 이들은 이 같은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운 후 당선된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 군수는 지난해 민간주도의 주민참여형 청주·청원 통합 추진을 천명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민간주도의 자율통합 성사를 위해 민간협의체 구성을 합의했다.

단 이들은 찬·반이 공존하고 있는 청원군의 입장을 반영해 독자적인 협의체를 구성한 후 입장이 정리되면 공동협의체를 진전시키기로 했다.

청주시가 통합에 무조건 찬성인 상황에서 청원군에 구성될 통합주민협의체는 청주·청원 통합의 키를 쥐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원군은 찬성, 반대, 중립을 동수로 각계각층과 각 읍·면별로 고르게 배분해 33명으로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하지만 청원군통합주민협의체는 애초 지난해 말 구성될 계획에서 지난달로 연기됐고, 이마저 다시 지연되고 있다.

청원군 관계자는 “지난해 불거진 청원군 일부 지역의 세종시 편입 문제와 구제역 사태가 불거지면서 주민협의체 구성이 늦어지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예정보다 늦어지긴 했지만 군민들과의 대화를 지속해 왔고 곧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원군은 세종시 편입 문제와 구제역 사태를 공식적인 지연 이유로 밝히고 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이 군수는 “찬·반으로 갈린 청원군 주민들이 상대방 측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친 인사들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 구성될 주민협의체에는 지난 통합 논의과정에 앞장섰던 인사들을 배제해야 한다”고 공언해 왔다.

하지만 이 같은 이 군수의 뜻은 실무선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통합 찬·반 단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대척점에 섰던 이들은 청원군의 주민협의체 구성 방침에 반발해 공동대응까지 검토하고 있다.

정균영 청원청주군민통합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입장은 다르지만 청주·청원 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선 사람들은 청원군에 대한 애정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찬성 혹은 반대 운동을 통해 행정구역 통합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이들을 배제한다는 것은 군의 입맛에 맞는 인사로만 주민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청원군이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 청원사랑포럼과 공동대응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반대 입장에 섰던 청원사랑포럼 역시 마찬가지 반응이다. 조방형 대표는 “청주·청원 통합을 둘러싼 갈등은 이념 대립이 아닌 청원군을 사랑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통합 논의 과정에 기존 인사들을 배제한다는 것은 주민협의체를 거수기로 전락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