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7일 대전·충남지역에 비가 내리면서 구제역 매몰지에 대한 관리가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들이 충남 천안시 병천면의 한 구제역 매몰지에서 덮혀있던 비닐을 돌로 고정시키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주말과 휴일을 맞아 충남도내에 비가 내리면서 충남도와 일선 시·군이 구제역 매몰지 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충남도 방역당국은 도내 전 매몰지에 방수천막을 덮고 배수로를 정비하는 등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으며 27일 현재 강우에 의한 매몰지 피해는 아직까지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층 풀린 날씨와 강우로 인한 매몰지 유실 및 붕괴 등 2차 오염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는 깊어 가고 있어 방역당국의 철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도 방역당국은 지난 주말인 26일부터 28일 오전 6시경까지 도내 전역에 40~80㎜ 정도의 비가 예상된다는 기상청의 예보에 따라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 매몰지 전역에 대한 긴급관리에 들어갔다고 27일 밝혔다.
도는 기상청의 예보에 따라 빗물로 인한 매몰지 유실 및 붕괴를 사전에 막기 위해 도내 353개 매몰지 전역을 대상으로 방수천막 설치를 비롯해 주변 배수로 정리 등 긴급조치를 지난 26일 모두 완료했다.
또한 매몰지 및 이동제한지역 내의 가축분뇨가 빗물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도내 각 시·군에게 협조공문을 시달했으며, 해당 시·군의 책임담당 공무원이 현장을 수시로 확인할 것을 지시했다.
이와 함께 관련 농장주에게도 매몰지를 수시로 점검해 줄 것을 당부했으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굴착기 4대와 덤프트럭 10대를 대기시키는 등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역당국의 분주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민들의 우려는 깊어지고 있다. 사상 최대의 구제역 피해가 발생하며 도내 전역이 매몰지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이번 강우로 인해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도가 매몰지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천과 경사면에 위치해 있어 특별 관리가 요구된 28개의 매몰지 가운데 6곳을 제외한 나머지 22곳은 보완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또 매몰지 인근 주민들이 사용하는 지하수 및 음용수에 대한 2차 오염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현재 도 수질관리과는 도내 매몰지 주변을 관장해 지하수 및 음용수에 대한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이들 지역의 상수도 시설 공사가 올해 말에나 완료될 예정으로 주민들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 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도 관계자는 “이번 강우로 인해 매몰지에 대한 피해 우려가 커진 만큼 가능한 인력을 총 동원해 매몰지에 대한 집중관리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번 비가 모두 그친 후에도 도내 전 매몰지역에 대한 유실 및 붕괴 등의 위험을 철저히 점검하고 수질오염에 대한 점검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70여 곳의 매몰지를 관리하고 있는 천안지역에는 27일 오후 6시 현재 25㎜의 비가 내렸고, 서산 51㎜, 대전 34㎜, 보령 27.5㎜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지역 | 매몰지(곳) | 농가수 | 소 | 돼지 | 기타 | 계 |
천안시 | 71 | 78 | 1260 | 10만 8428 | 37 | 10만 9725 |
공주시 | 5 | 5 | 10 | 4066 | - | 4076 |
보령시 | 22 | 30 | 217 | 8만 5903 | 31 | 8만 6151 |
아산시 | 26 | 26 | 153 | 1만 9533 | 17 | 1만 9703 |
논산시 | 3 | 3 | - | 4642 | - | 4642 |
연기군 | 2 | 3 | - | 5573 | - | 5573 |
홍성군 | 79 | 78 | - | 4만 3084 | 1 | 4만 3085 |
예산군 | 37 | 38 | 44 | 4만 877 | - | 4만 921 |
태안군 | 1 | 1 | - | 428 | - | 428 |
당진군 | 107 | 105 | 569 | 13만 5557 | 30 | 13만 6156 |
합 계 | 353 | 367 | 2253 | 44만 8091 | 116 | 45만 460 |
<충남지역 구제역 살처분 현황(단위:마리)>(2월 27일 현재. 충남도 자료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