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국제공항의 운영권 매각을 위해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업체 두 곳의 실명에 대해 관련 기관들이 철저한 ‘입단속’을 하고 있어 이를 둘러싸고 온갖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의향서를 제출한 2개 업체에 대해 그동안 알려졌던 대기업이 아닌 중소건설업체로 전해지면서 향후 청주공항을 30년간 제대로 운영할지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8~10일 청주공항 운영권 예비인수의향서를 접수한 결과 2개 업체가 등록, 현재 적격입찰자 선정과 예비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4월에는 본 입찰서 접수와 객관적인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위원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매각 계약이 체결된다 하더라도 공항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전수받는 데에는 1년 정도의 소요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민간기업이 청주공항을 운영하는 시기는 내년 하반기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철저한 보안에 부쳐진 이들 업체가 따로따로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으로 보이며 지방자치단체도 컨소시엄에 합류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청주공항 자체에서도 공항공사 직원들을 비롯해 입주한 항공사 관계자들이 인수의향서 제출업체가 어느 곳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업계는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업체들이 인수 여부에 따라 기업 이미지와 주가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철저한 보안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인수의향서 제출 당시 비밀보장각서를 받았고, 업체들도 철저히 공개를 꺼리는 사항”이라면서 “통상적으로 M&A 할 때 인수 관례상 인수의향서 업체를 공개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