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제자유구역에 충주를 포함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충북도에 따르면 청주국제공항, 오창, 오송, 증평 외에 충주를 포함한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한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충주시가 지난해부터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희망하고 있어 충북경제자유구역에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충주시가 아직까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며 “다음달 15일까지 지식경제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유정안을 제출해야 하는데 시간상으로 촉박하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5월 청주국제공항과 오창IT·오송BT·증평GT 단지를 묶어 지정 신청을 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해 말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신규 지정을 강화하는 관련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충북경제자유구역 조기 지정에 적신호가 켜졌다.
여기에 충주시와 제천시까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나서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특히, 충주시의 경우 한나라당 윤진식 의원이 충주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약 실천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서는 등 강한 의지를 보였다. 충주시와 윤진식 의원의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 대해 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은 도지사가 하는 것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충주시와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관련해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는 도의 입장도 불구 윤 의원은 충북경제자유구역과는 별개로 추진할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이처럼 도와 지자체가 별개의 경제자유구역을 추진하고 신규 지정을 강화하는 관련 개정안이 추진되면서 충북경제자유구역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됐다.
그러나, 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항공정비단지(MRO), 오송바이오밸리 등 항공산업과 보건의료산업 발전을 위한 외자 유치에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충주시를 포함하는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 입장에서는 충주시를 충북경제자유구역에 포함할 경우 같은 지역의 중복신청을 해소하고 이명박 정부의 핵심인물인 윤 의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조기 지정이 한결 쉬워진다.
또 윤 의원 입장에서는 지난해 보궐선거 당시 지역 유권자에게 내걸었던 약속을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충주시를 포함한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충북경제자유구역 범위가 청주국제공항, 오송, 오창, 증평에서 충주까지 포함할 경우 음성, 진천 등 중부지역을 건너뛰어야 하는 문제와 제천시의 독자 추진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가 과제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충북경제자유구역이 이번에 지정되지 않을 경우 민선 5기 충북도가 추진하고자 하는 솔라밸리, 오송바이오밸리, MRO 사업을 위한 외지유치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충주시를 포함하고 여당 지역구 의원과 공조할 경우 지정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