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민·관·학·단체 등으로 구성된 원자력 안전 시민협의회가 23일 한국원자력연구원 본관동 2층 영빈관에서 회의를 열고 지난 20일 발생한 하나로 방사선 유출과 관련해 토론을 벌이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이날 협의회에서는 안전 사고 대책과 방사능방재센터의 역할 부실 문제가 집중 포화를 맞았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이번 사고 때 대전방재지휘센터의 역할이 전혀 없었던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고은아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도 “위험 상황에 대해 원자력안전협의회와 공유가 안되고, 대전시도 원자력연 보도자료 그대로 설명하는 데 그쳤다”며 “방재센터이 기능이나 역할과 운영 상황을 정확히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김의수 대전시 자치행정국장은 “상황 처리 메커니즘 인식의 공유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난 것으로 굉장히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라며 “국비 15억 원을 받아 3년 만에 완성한 방사능방재센터의 기능을 우리도 알고 싶다”고 말했다.
하재주 원자력연 연구로이용개발본부장은 “관련 매뉴얼을 계속 수정 보완해서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하고 있고 대처도 잘 했는데, 비상을 늦게 발령한 것은 미숙했다고 생각한다”며 “작은 것이라도 절대 숨기지 않고 신뢰를 받겠다”고 답했다. 한편 원자력연은 문제가 된 알루미늄 통(floater)을 조사재시험시설로 이송해 정밀 검사 수행하고, NTD 조사 장치 개선을 포함한 재발 방지 대책을 내달 중순까지 마련한 뒤 교과부의 승인을 거쳐 원자로를 재가동 할 예정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