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둔 맞벌이 부부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누리며 선호도가 높은 야간돌봄전담유치원(이하 야간돌봄유치원)이 극소수로 한정돼 있어 대폭적인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부 유치원들의 경우 관리책임 등에 대한 부담감으로 야간돌봄유치원 지정을 꺼리고 있어 제도정착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2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야간돌봄유치원은 지난해 3월부터 동구, 중구, 대덕구 각 1개 원씩, 서구 2개 원 등 모두 5개 원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대상자는 맞벌이 가정이나 직장이 있는 한부모 가정의 자녀로 만 3~5세 유아다.
이 유치원들은 시교육청에서 운영비를 전액 지원받아 이용대상 부모들은 저녁식사 비용 외에 원비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직장생활에 전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도가 급상승하고 있다.
실제 운영초기 기존 원생들로 정원을 채웠지만 최근에는 타 유치원 원생 부모부터 원거리 거주 부모들까지 입학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이 야간돌봄유치원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지정 유치원 수가 각 자치구에 1개 원 씩에 불과해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더욱이 유성구의 경우 지정된 유치원이 단 한 곳도 없을뿐더러 대덕구는 대형 주거 중심지가 아닌 외진 곳에 위치해 혜택을 볼 수 있는 대상이 많지 않은 형편이다.
최모 씨(40)는 “야간돌봄유치원이 집에서 너무 멀어 아이를 맡기는 것을 포기했다”며 “보다 많은 부모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더욱 확대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당초 돌봄유치원을 시범운영 한 뒤 올해부터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었지만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그 시기를 무기한 미룬 상태다.
더구나 지정을 꺼리고 있는 유치원도 상당수인 것으로 알려져 향후 제도정착에도 난관이 예상된다.
한 유치원 관계자는 “종일반 운영이 원활히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위주로 지정되어야 하며, 세부규정을 구체적으로 만들어 지정 유치원에 인센티브 혜택을 주는 것이 제도정착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맞벌이 부부 자녀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 등 지정 기준을 통과한 거점유치원을 신중하게 선정, 운영하고 있다”며 “예산이 한정돼 있어 당장 올해에는 확대할 수는 없지만 기존 돌봄 시간을 한 시간가량 늘릴 수 있는 온종일돌봄교실 운영을 교과부에 신청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