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나라당 충청권 정책토론회가 2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적 조성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열려 이성헌 국회의원을 비롯한 패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2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적 조성을 위한 방향과 과제’라는 주제로 열린 한나라당 충청권 정책토론은 국정운영 불만토론장을 연상케 했다.
이날 토론회는 한나라당 대전시당·충남도당·충북도당이 주최하고 대전시당 정책위원회가 주관했다.
비록 발제자와 토론자의 입을 통해서였지만, 이 대통령과 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불만과 비판이 여과 없이 전달됐다.
주제발표에 나선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지난 3년간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은 국민이 아니라 대통령과 정부 중심이었고, 국가 전체를 아우르는 것이 아닌 수도권 중심이었다”고 포문을 열었다.
육 교수는 이어 “그 결과 세종시 등 주요 국정사업마다 국론이 분열됐고, 국민과 사회의 통합을 이뤄야 할 대통령이 오히려 정부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일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대통령의) 공약도 수정될 수 있고, 지켜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과학벨트 공약은 정부 계획에 따라 이미 정책으로 진화된 것”이라며 “설령 수정·백지화시키려면 그에 대한 당위성과 타당성이 있어야 하지만, 대통령과 정부는 이 부분이 생략됐다”고 지적했다.
육 교수는 “세종시 수정 논란을 통해 얻은 대표적 교훈은 약속은 지키지 않을 때 대통령은 물론 국가에 대한 믿음이 근본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는 사실”이라며 “대통령은 과학벨트 사업의 결단을 넘기거나 미루지 말고 당초 약속한 대로 조속히 추진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참석한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서대문 갑)은 “세종시 논란이 끝나자마자 또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해 안타깝다”면서 “그동안 한나라당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위해 대선 당시 한나라당 공약집, 18대 국회의원 총선에 이어 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서도 수차례 약속해온 만큼 당 차원의 약속을 지켜 신뢰의 정치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어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월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세종시가 과학벨트의 최적지라고 밝혔다”라며 “이런 사안을 새삼스럽게 재논의하겠다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 밖에 장인순 전 한국원자력연구소장은 “현 정권의 인수위원회에서 과학벨트를 다룰 때 잠시 참여했으며, 그 당시 모든 사람들이 세종시로 가야 한다고 했다”라며 “이런 발표(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백지화)를 하는 것을 보고 당황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친박(친 박근혜)계로 알려진 이성헌 의원과 강창희 전 최고위원 등이 참석했고, 육동일 교수는 발제의 마무리를 박근혜 전 대표의 발언으로 하는 등 당 내 친박계들이 대거 모습을 보였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