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학노동조합 청주대지부(지부장 박용기, 이하 청주대 노조)의 총파업이 52일 만에 마무리된 가운데 노조원들이 향후 대학 측의 움직임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학측이 노조핵심인물에 대한 보복성 인사를 단행할 지, 아니면 해묵은 노사간 갈등해소를 위한 화합방안을 내놓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주대 노조원들은 지난 17일 사측의 현수막 철거 등에 대한 가처분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결에 따라 더 이상 파업을 계속할 수 없다고 결정한 후 노조사무실 등에서 모여 눈물을 흘리는 등 울분을 토했으며 각자 추스르기도 힘든 상태에서 서로를 위로하며 귀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동등한 위치에서의 노사합의가 아닌 법적 대응 등 물리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백기를 들었다는데 대해 깊은 자괴감에 빠져있으며 향후 학교 측이 노조원들에게 보일수있는 조치에 대해 삼삼오오 모여 의견을 나누는 등 초조함을 보이고 있다.
총파업을 철회하기로 합의한 다음날인 지난 18일부터 각자의 근무처로 복귀한 노조원들은 정상 근무를 하고 있으나 대학 관계자들의 질문에 일일이 답변하지 않는 등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조원들은 대학 측과 노조가 그동안 있었던 일들에 대해 일체의 민·형사상 책임이나 징계도 하지 않기로 했으나 대학 측이 오는 3월 1일로 예정된 인사발령에서 노조원들에 대한 대규모 탄압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대학 측이 지난 9월 정기 승진인사를 하지 않았고 오는 3월1일자 정기인사가 예정돼 있어 이달 안에 인사발령을 내야 하는 상황이고 이 과정에서 총파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직원들을 기피부서로 전보발령하는가 하면 총파업에 가담하지 않은 비노조원만 승진시킬 것이라는 말까지 돌고 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대등한 입장에서의 노사합의가 아니었기 때문에 사측은 기세가 등등한 상태"라며 "이제 총파업 적극가담자들에 대한 피비린내 나는 탄압만 남은 상태"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대학 관계자도 "아직까지 노조원들을 파면 또는 해임 등 조치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논의가 없었지만 전보는 (인사권자의) 고유권한인 만큼 가능성이 있지 않겠느냐"고 말해 부인을 하지 않았다.
이 대학의 또 다른 관계자도 "노조와 징계를 하거나 민형사상 책임은 묻지 않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고소·고발이나 파면·해임 등은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승진대상 배제나 전보는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용기 청주대 노조 위원장은 "이미 수년간에 걸친 개인별 인사자료를 확보하고 있다"며 "원칙에 어긋난 인사를 하는 경우 이는 합의를 파기하는 것과 같은 것인 만큼 대책 마련을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사갈등을 객관적 입장에서 바라본 교직원들은 “양측 모두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만큼 한 발씩 양보하는 마음으로 뒷일을 마무리 하고 화합하는 계기를 마련해야한다”며 “그렇지 않고 노조원에 대한 보복차원의 인사 등이 뒤따를 경우 또다른 불만이 잠재 돼 갈등이 표출하는 사태가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