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금융위원회가 지난 19일 중앙부산 등 4곳의 저축은행에 대한 추가 영업정지 조치를 내리면서 대전지역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삼화저축은행과 지난 17일 부산·대전저축은행의 영업정지 조치 이후 “상반기내 추가 영업정지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발언이 예금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면서 더 이상 믿지 못하겠다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20일 대전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당시 대규모 인출사태와 달리 대전저축은행의 영업정지 조치 이후 시장은 비교적 차분한 반응을 보이며 전반적인 인출규모는 대폭 줄었으나 저축은행 추가 영업정지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분위기는 또 다른 전환점을 맞고 있다.
영업정지 첫날인 17일 오후 4시 기준 19개 대형 저축은행의 예금 순유출액은 1456억 원으로 삼화 때 같은 시점의 유출액 2744억 원의 절반에 그쳤고, 이틀째인 18일에도 102개 저축은행의 예금 인출액은 4353억 원으로 삼화 때 6947억 원의 62.7%에 불과했다.
오히려 몇몇 대형저축은행들의 경우 예금이 증가하는 역전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시장의 이 같은 반응은 지난 삼화저축은행 사례를 통해 예금주들이 예금액을 5000만 원 이하로 분산예치하는 등의 학습효과에다 금융당국의 "상반기중으로 더이상의 영업정지는 없을 것"이라는 단언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7일에 이어 불과 이틀 만에 다시 단행된 저축은행 4곳에 대한 영업정지조치는 시장분위기를 싸늘하게 만들고 있는 분석이다.
지역 금융계는 전방위적인 금융계의 뱅크런 사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 만큼 제2금융권 뱅크런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데 상반기중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명령은 없다는 금융당국의 단언이 나온지 불과 이틀 만에 또 다시 영업정지 조치가 내려진 것은 자세한 사정과 상관없이 시장으로 하여금 금융당국 발언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적어도 BIS자기자본 비율이 5% 미만인 은행들에 국한되서라도 또 다시 뱅크런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은 상당하다는 시각도 있다.
여기에 BIS 자기자본비율 5% 미만으로 분류한 그룹에서 보해저축은행이 영업정지조치를 당함에 따라 같은 그룹에 속했던 저축은행들을 바라보는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실제 부실저축은행을 인수했기 때문에 별도로 금융당국의 관리를 받았을뿐 실제 재무건전성에서 전혀 문제가 없었던 우리, 새누리저축은행의 경우도 BIS 자기자본비율 5%미만으로 분류된 사실이 발표되면서 상당한 예금인출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역의 한 금융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추가 영업정지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말에 적금해지를 미룬 예금주들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한다”며 “시장이 금융당국의 이번조치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저축은행들의 업무가 시작되는 21일이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