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업정지를 당한 대전저축은행이 시장에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인수 가능성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20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지난 17일 영업정지 조치를 내린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해 검사를 실시 중이다.

당국은 대전저축은행 등 부산저축은행 계열 저축은행들의 재무건전성 등이 기준을 충족하고 유동성도 충분히 확보됐다고 판단되면 영업을 재개하도록 할 방침이다.

영업정지를 당한 이들 저축은행은 현금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정상화에 성공할 경우 영업 재개가 가능하다.

그러나 여의치 않을 경우 삼화저축은행과 같이 적기시정조치를 거쳐 매각수순을 거쳐야 한다.

공적자금 투입 등 다른 시나리오가 나올 수도 있어 아직은 속단하기 어렵지만 업계는 대전저축은행 및 부산저축은행 계열사들의 부실 수준이 심각하다보니 결국 매각 작업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경우 삼화저축은행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우리금융지주를 제외한 신한·KB·하나금융 등 나머지 3개 금융지주 회사들이 대전저축은행 인수에 나설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들 금융지주 회사는 저축은행을 인수해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겠다는 방침 하에 대전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올 경우 인수를 검토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융업계는 대전저축은행의 매각 작업이 인수 경쟁이 치열했던 삼화저축은행과는 달리 큰 인기를 끌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대전저축은행의 경우 계열사인 부산·중앙부산·부산2·전주저축은행이 모두 영업정지를 당한 데다 부실 수준이 심각해 새로운 주인 찾기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계열사 간 여신관계가 얽혀있는 데다 지역 저축은행의 한계로 인해 인수자들에게 큰 매력을 주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 금융 전문가는 “대전저축은행은 영업범위의 제한이 있는 지방 저축은행이라는 부담과 함께 타 계열사들과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등의 여신 관계가 얽혀 부실규모 파악도 어렵다고 평가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금융지주회사들이 대전저축은행 인수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