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개원하는 2월 임시국회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쟁점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충청권 유치에 따른 충북 실리론에 대한 지역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4·5면

이번 국회에서는 민생현안과 함께 지난 연말 직권상정으로 강행 처리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법 등 주요 법안 재심의를 놓고 여야가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법의 경우 민주당이 우선 상정해 토론키로 했지만, 쟁점화되고 있는 충청권 명기를 놓고 여야의 첨예한 대립 가능성이 크다. 임시국회 동안 충청권 야당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압박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이처럼 충청권 지자체와 정치권, 시민단체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는 가운데 충청권 유치에 따른 충북 실리 챙기기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원점 재검토 시사 이후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던 한나라당충북도당은 실리론을 내세우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나라당은 “야당 도지사와 국회의원, 시민사회단체가 과학벨트를 정략적으로 키워 충청권 유치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충북 실익을 위한 차분하고 치밀한 대응을 주장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구체적으로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의 오창 유치론을 강조했다.

이러한 과학벨트 핵심시설 중 하나인 중이온가속기 오창 유치를 위한 필요성은 충북도에서도 나오고 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 대통령 공약 이행에 대한 충청권 지자체의 공동대응 때문에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라는 목적 달성 이후 입지는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오창이 가속기 유치에 있어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충북개발연구원의 한 관계자도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3개 시·도가 공동대응하고 있지만, 충북은 실익측면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세종시 입지의 경우 오송·오창의 기능지구는 사실상 큰 실익이 없다는 여론이 많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에 대한 공동대응과 함께 오창 가속기 유치 당위성 등 논리적인 접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충북도는 지난 20008년 10월 오창차세대가속기건립센터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가속기 유치전에 펼쳤었다.

당시 도는 오창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땅값에 기조성된 부지, 안정적인 화강암층의 지반, 청주국제공항·고속도로·KTX 등 용이한 접근성, 기초과학·응용과학·R&D시설과의 연계 운용 등 차세대가속기 입지조건을 고루 갖췄다는 점을 내세우며 가속기센터 유치에 적극 나섰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 공동대응에 보조를 맞추면서 지역의 실익을 위한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