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6일 대전 동구 하서동의 양돈농가에서 구제역에 걸린 돼지 2000여 마리를 방역당국이 매몰처분을 하고 있다. 김호열기자 kimhy@cctoday.co.kr | ||
<속보>= 대전시는 동구 하소동에서 발생한 구제역과 관련 16일 해당농가에서 사육 중인 모든 가축에 대한 살처분을 완료하고, 확산 방지에 전 행정력을 집중키로 했다.
시는 이날 오후 6시까지 돼지 2150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끝내고, 침출수 유출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 옹벽과 차수막을 설치하는 한편, EM(유용미생물)균을 도포했다.
또 지하수를 식수로 음용하는 주변 농민들의 추가 환경피해를 막기 위해 해당농가 인근 51농가에 대한 상수도 시설 지원을 약속하고, 대전시상수도사업본부의 자체 예산을 활용, 빠른 시일 내에 수돗물을 공급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침출수 유출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모든 조치를 완료했으며, 인근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해 상수도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또 지난 15일 동구 하소동의 한 농장에서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최종 양성으로 판정됨에 따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역학조사를 의뢰했으며, 모든 가능성을 열고, 감염 원인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번에 대전에서 사상 최초로 발생한 구제역 여파로 지역 내 전체 돼지 사육두수의 63%가 전부 살처분돼 향후 지역의 축산기반이 붕괴될 위기에 놓였다.
특히 전국적인 구제역 확산으로 백신 품귀현상까지 심화돼 지역 내 돼지농가에 대한 2차 백신접종은 이달 말에야 가능할 것으로 보여 추가 감염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최근 정부가 구제역 여파로 돼지의 시장 매매가격이 너무 올라 시가(時價) 보상이 어렵다는 점도 지역 축산 농가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돼지 가격이 구제역 발생 전에 비해 2배 이상 폭등했다”며 “시가 보상이 원칙이지만 워낙 살처분된 가축이 많아 시가 보상보다는 평년 수준의 보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의 축산농민들은 “타 지역에 백신이 우선 배정되면서 청정지역이라는 대전에까지 구제역이 확산됐다. 정부의 늦장대응으로 구제역 사태가 확산된 만큼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며 울분을 토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