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올 6월부터 대전지역에서 무상급식이 사실상 전면 시행된다.
대전시는 16일 시청 중회실에서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를 열고, ‘시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 위원’ 12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교 무상급식의 지원시기와 대상, 방식 등을 논의했다.
이날 발표된 ‘학교급식 지원계획(안)’을 보면 시는 무상급식을 자치구를 통해 각급 학교로 지원하고, 급식시행은 시교육청의 세부운영지침에 따라 운영키로 했다.
또 학교 무상급식 관련 예산이 중앙에서 지원될 경우에 대비해 재원분담 비율에 비례, 분담예산을 조정키로 했으며, 무상급식 지원 시기는 올 6월부터 시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향후 행정적인 절차로 교육청의 의견을 반영하고, 시의회와의 협의 등을 통해 이달 중 학교 무상급식의 단계별 지원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 6월부터 대전지역 3만 1497명의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시작으로 오는 2014년까지 모두 10만 8823명의 초등학교 학생 전원이 무상급식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연도별 예산 분담은 시 60%, 자치구 20%, 교육청 20% 등으로 초등학교 전체의 무상급식이 시행되는 오는 2014년에는 연간 353억 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시는 지원의 일관성 차원에서 친환경 급식재료비 지원방식과 동일하게 자치구 보조금 사업으로 자치구에 교부하고, 각 구에서 각급 학교로 지급한 후에 지역 교육청을 통해 정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시교육청은 “실무적 합의에 동의했을 뿐 무상급식은 반대”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정용기 대덕구청장도 “무상급식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어 무상급식의 전면 시행까지 넘어야 할 난관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16일 시청 중회실에서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를 열고, ‘시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 위원’ 12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교 무상급식의 지원시기와 대상, 방식 등을 논의했다.
이날 발표된 ‘학교급식 지원계획(안)’을 보면 시는 무상급식을 자치구를 통해 각급 학교로 지원하고, 급식시행은 시교육청의 세부운영지침에 따라 운영키로 했다.
또 학교 무상급식 관련 예산이 중앙에서 지원될 경우에 대비해 재원분담 비율에 비례, 분담예산을 조정키로 했으며, 무상급식 지원 시기는 올 6월부터 시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향후 행정적인 절차로 교육청의 의견을 반영하고, 시의회와의 협의 등을 통해 이달 중 학교 무상급식의 단계별 지원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 6월부터 대전지역 3만 1497명의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시작으로 오는 2014년까지 모두 10만 8823명의 초등학교 학생 전원이 무상급식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연도별 예산 분담은 시 60%, 자치구 20%, 교육청 20% 등으로 초등학교 전체의 무상급식이 시행되는 오는 2014년에는 연간 353억 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시는 지원의 일관성 차원에서 친환경 급식재료비 지원방식과 동일하게 자치구 보조금 사업으로 자치구에 교부하고, 각 구에서 각급 학교로 지급한 후에 지역 교육청을 통해 정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 시교육청은 “실무적 합의에 동의했을 뿐 무상급식은 반대”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고, 정용기 대덕구청장도 “무상급식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어 무상급식의 전면 시행까지 넘어야 할 난관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