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지역구인 민주당 전병헌 정책위 의장(서울 동작갑)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세종시 백지화 의도와 비슷하다’며 이는 대통령의 ‘몽니’라고 비판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설을 맞아 지난 1일 과학벨트 입지에 대해 ‘원점검토’ 언급을 했는데 이를 어떻게 보는지. 충청권 과학벨트 입지 찬성에 대한 근거는.
“이 대통령이 갈등을 부추기는 것 자체가 세종시를 백지화하려 했던 의도와 비슷한 것 이라고 본다.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좌절됐기 때문에 몽니 부리는 것 아니냐. 국정을 가지고 몽니를 부리면 대통령이나 정부도 매우 불행해질 수 있다. 신뢰를 지키는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
과학벨트는 최첨단 시설이 들어가는 곳으로 당연히 남쪽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충청권은 수도권이나 영호남 입장에서 접근성이 좋다. 공유하기도 쉽다. 산업적으로 발전도 된다.
국가적 차원에서 어디로 가야 하나 생각해야 한다. 민주당은 그런 입장에서 당론을 정했고 과학벨트법 개정안도 냈다. 세종시를 원안대로 완벽하게 건설하기 위해서는 충청권에 과학벨트가 건설돼야 한다.”
-과학벨트 건설도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국책사업마다 각 지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는데 정책통으로서 이에 대한 입장은.
“국책사업은 국민 의견, 정부 의견, 대선·총선 등의 공약 등 어떤 형태로든지 제안되고, 이후 실행을 위해 다양한 각도의 타당성을 검증했다면 대국민 약속으로 이행해야 한다. 국책사업으로 사업계획을 세우고 국민에게 보고를 끝마친 사업은 정부 또는 일부 정치권에 의해 예단되고 변경돼서는 안 된다
국민 우선의 국책사업을 정치권의 논리와 청와대, 대통령의 의중으로 바꾸고, 없애고 하는 등의 행태는 과거 독재 권력의 모습과 다를 바 없다. 과학벨트는 국민과 충청도민과의 약속이고 이에 대한 타당성은 누구나 인정하는 것이므로 ‘약속이행’을 해야 한다.”
-충청권이 들끓고 있다. 충청권 입지 찬성자로서 조언을 한다면.
“세종시를 원안대로 완벽하게 건설하고 현재 우리나라 과학단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연계 개발이 절실하다. 대전에 위치한 대덕연구단지의 물리적 기반을 토대로 기초과학연구 기반 확대를 통해 국제화 및 원천기술 확보가 용이한 충청권에 과학단지(과학도시 또는 그에 준하는 형태의) 건설은 당연한 것이다. 민주당은 국민과의 약속인 ‘대국민 정책’에 대해 매우 소중하고 꼭 지켜져야 할 것으로, 항상 신뢰를 보여주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