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충청권 유치에 대한 실익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가속기 입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오창이 주목받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 정치권 등이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조성 공약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과학벨트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핵심 시설이다.
특히, 중이온가속기는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에 과학벨트를 포함시키면서 결정된 가속기로, 충북도가 방사광가속기와 함께 오래전부터 유치 노력을 기울여왔었다.
충북도는 지난 20008년 10월 오창차세대가속기건립센터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가속기 유치전에 돌입했다. 당시 도는 3.5세대 고에너지 차세대방사광가속기 유치를 위해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총력전을 펼쳤다. 추진위는 오창이 낮은 지하수위와 지하 5~15m 화강암반층으로 구성돼 있고, 국토중심의 뛰어난 접근성, 기반조성 완료, 우수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유리한 입지조건을 내세웠다.
오창이 가속기 입지에 최적지라는 연구결과도 잇따랐다.
같은 해 4월 라마다플라자 청주호텔에서 열린 ‘오창 차세대 가속기센터 건립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김해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김해진 부장은 ‘오창 차세대가속기센터 건립에 대한 비전과 연계활용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세계적 수준의 다목적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국토의 중심인 충북 오창에 건립해 글로벌 연구 허브센터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며 오창가속기센터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 11월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오창차세대가속기센터 건립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차세대가속기 입지조건으로는 암반 등 지반이 단단해야 하고, 해외 석학을 유치하려면 국제공항 근접지역 등 접근이 쉬워야 한다”며 안정적인 지반과 용이한 접근성을 갖춘 오창이 최적임을 강조했다.
최근 과학벨트 논란이 가열되는 속에 청주를 방문한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장도 “중이온가속기 설치를 위해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암반지역 660만㎡ 이상의 부지가 필요하다"며 "충청권이 유일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오창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땅값에 기조성된 부지, 안정적인 화강암층의 지반, 청주국제공항·고속도로·KTX 등 용이한 접근성, 기초과학·응용과학·R&D시설과의 연계 운용 등 차세대가속기 입지조건을 고루 갖췄다는 점에서 과학벨트 논란 속에 가속기 입지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을 위해 대전, 충남과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시점이기는 하지만 지역의 실익론이 나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관철 이후 예상되는 가속기 등 핵심시설 지역 유치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 공조도 좋지만, 우리 지역에 우수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오창이 가속기 입지에 최적지임이 입증된 만큼 들러리라는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실익측면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